스포츠매일

스포츠매일

8년 만의 동계AG·새 역사 쓸 KBO..2025년 스포츠계 '뜨거워진다'

 2025년은 올림픽이나 월드컵 같은 메가 이벤트는 없지만, 각종 스포츠 대회가 팬들의 심장을 뜨겁게 달굴 전망이다.

 

시즌 첫 테니스 메이저 대회인 호주오픈이 1월 12일 멜버른에서 막을 올린다. 세계 7위 노바크 조코비치(세르비아)는 은퇴한 라이벌 앤디 머리를 코치로 영입하며 변화를 꾀했다. 세계 1위 얀니크 신네르(이탈리아)와 3위 카를로스 알카라스(스페인) 등 신예들의 도전을 뿌리치고 대회 통산 11번째 우승컵을 들어올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코로나19로 8년간 중단됐던 동계 아시안게임이 2월 7일부터 14일까지 중국 하얼빈에서 개최된다. 한국은 쇼트트랙 간판스타 박지원과 최민정을 앞세워 종합 2위 탈환에 도전한다. 2017년 삿포로 대회 이후 처음 열리는 아시아의 겨울 축제다.

 

3월에는 2026 북중미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이 재개된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대표팀은 B조 선두(4승2무·승점 14)를 달리고 있다. 3월 20일 오만, 25일 요르단과의 홈 2연전에서 승리하면 11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 지을 수 있다. 각 조 2위까지 본선 직행 티켓이 주어진다.

 


지난해 처음으로 1000만 관중을 돌파한 KBO리그는 3월 22일 개막해 새로운 도전을 시작한다. 특히 한화 이글스가 2만석 규모의 '베이스볼 드림파크'로 이전하면서 더 많은 관중 유치가 기대된다.

 

6월 15일부터 7월 13일까지는 미국에서 클럽월드컵이 열린다. K리그 대표로 나서는 울산 HD는 레알 마드리드(스페인), 맨체스터 시티(잉글랜드), 바이에른 뮌헨(독일), 파리 생제르맹(프랑스) 등 세계적 명문들과 격돌한다. 대회 방식이 바뀌면서 더욱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하반기에는 세계수영선수권대회(7~8월·싱가포르), 세계양궁선수권대회(9월·광주), 세계육상선수권대회(9월·도쿄) 등 각 종목 최강자들의 대결이 펼쳐진다. 특히 광주에서 열리는 세계양궁선수권은 한국 선수들의 홈 이점을 살린 메달 레이스가 기대된다.

 

'7말8초' 대한민국 대이동 예고... 강원도·제주도·부산 TOP3 차지

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여름 국내 여행을 떠난다는 응답이 52.7%로 작년보다 17%포인트나 증가했다.반면,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응답자는 25.9%로 전년 대비 5.2%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국내여행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특히 국내 여행지 중에서는 강원도가 18.1%로 1위를 차지했지만, 작년보다는 7.8%포인트 감소한 수치를 보였다. 제주도가 17.3%로 2위, 부산이 12.2%로 3위를 차지하며 인기 여행지로 자리매김했다.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 중에서는 동남아를 선택한 비율이 30.8%로 가장 높았고, 일본이 30.4%로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했다. 유럽을 선택한 응답자도 14.6%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다.휴가 시기는 7월 마지막 주(29.1%)와 8월 첫째 주(22.5%)에 집중되어, 이른바 '7말8초'에 과반수의 사람들이 휴가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는 전통적으로 한국의 여름 휴가 성수기로, 많은 직장인들이 집중적으로 휴가를 사용하는 기간이다.예상 지출 비용을 살펴보면, 국내여행의 경우 1인당 '50만원에서 100만원' 사이를 예상한 응답자가 36.8%로 가장 많았다. 해외여행은 '100만원에서 200만원' 사이라고 답한 비율이 27.7%로 가장 높았다. 이는 해외여행이 국내여행보다 평균적으로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됨을 보여준다.여름 휴가지를 선정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관광지와 놀거리'(54.8%), '음식'(48.8%), '비용'(41.7%)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용 측면은 여행 계획 수립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한편, 올해 여름휴가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들도 30.9%에 달했다. 이들이 휴가를 계획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경제적 부담'(42.3%)이 가장 많았고, '성수기라 사람이 많을 것 같아서'(29.4%), '휴가를 가야 할 이유를 크게 못 느껴서'(22.9%) 순으로 응답했다. 이는 경제적 상황이 여행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휴가를 가지 않기로 한 응답자들은 아낀 휴가 비용을 생활비(37.4%), 적금·저축(15.3%), 주식 투자(6.8%) 등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여행 대신 재정적 안정을 위한 선택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이번 조사 결과는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여행 트렌드와 경제적 상황이 여름휴가 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볼 수 있다. 특히 국내여행 선호도가 크게 증가한 점은 국내 관광 산업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