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매일

스포츠매일

물거품 된 손흥민의 꿈..돌아온 건 ‘1년 연장’ 강제 계약 뿐

손흥민은 다년 재계약을 기대했지만, 돌아온 것은 연장 옵션 활성화였다. 

 

토트넘 홋스퍼는 7일(한국시간) 구단 공식 채널을 통해 손흥민의 계약이 1년 연장됐다고 발표했다. 이번 결정은 재계약이 아닌 기존 계약에 포함된 연장 옵션을 행사한 것으로, 손흥민의 계약 만료일이 2025년 6월 30일에서 2026년 6월 30일까지로 늘어났다. 손흥민은 구단과의 인터뷰에서 "정말 감사한 일이다. 나는 토트넘을 사랑하고, 이 시간을 사랑한다"며 10년 가까이 함께한 토트넘에서 또 한 해를 보낼 수 있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또한 "팀의 주장을 맡은 순간부터 더 많이 발전하고 모범이 되어야 한다. 힘든 시간이 오더라도 나는 항상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다시 뛰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간 손흥민은 토트넘에 대한 애정을 꾸준히 보여왔다. 2015년 프리미어리그 입성 이후 수차례 이적설에 휘말렸지만, 그는 토트넘과의 신의를 지켜왔다. 지난 2021년 재계약 이후, 손흥민은 이번 계약 만료를 앞두고 세 번째 재계약을 원했지만, 토트넘은 손흥민의 계약에 포함된 연장 옵션을 행사하는 방식으로 대체했다. 'ESPN'은 소식통을 인용해 손흥민이 장기 재계약을 원했으나 협상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보도했으며, '디 애슬레틱'도 계약이 연장되었지만, 손흥민의 미래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아 있다고 밝혔다.

 

 

 

손흥민의 계약 상황은 시즌 초반부터 많은 관심을 끌었다. 유럽축구연맹(UEFA) 유로파리그 첫 경기에서 햄스트링 부상을 당한 손흥민은 이후 몇 차례 부진한 모습을 보였지만, 현재까지 6골 6도움을 기록하며 부활했다. 그의 경기력이 유지된다면, 손흥민은 2026년까지도 충분히 높은 가치를 지닌 선수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 다만 나이가 많다는 점에서 일부 구단들은 리스크를 우려할 수 있다. 그러나 손흥민의 경험과 마케팅적 가치 또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손흥민의 계약 연장 이후, 바르셀로나는 큰 계획에 차질을 빚었다. 바르셀로나는 이번 시즌이 끝난 후 손흥민을 영입할 기회를 엿봤지만, 토트넘의 계약 연장 결정으로 계획이 변경됐다. '스퍼스 웹'은 "토트넘은 손흥민의 계약을 연장할 계획이었고, 그가 2026년까지 북런던에 남게 됐다"며, 바르셀로나가 손흥민 영입을 고려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토트넘이 손흥민의 계약 연장 후 새로운 장기 계약을 논의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스퍼스 웹'은 "토트넘이 손흥민과 장기 재계약을 협상할 수 있을 것"이라며, 만약 새로운 다년 계약을 맺는다면 손흥민은 '토트넘 종신'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손흥민 역시 우승을 꿈꾸며 토트넘에서 더 많은 트로피를 들어올릴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이번 계약 연장은 손흥민의 미래를 둘러싼 여러 가지 논란과 가능성들을 여전히 남겨두고 있다. 그의 경력이 더 오래 지속될 경우, 여러 유럽 클럽들이 손흥민 영입에 관심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토트넘과 손흥민의 향후 계약에 대한 논의는 앞으로도 주목받을 전망이다.

 

아직 신라·롯데는 시작도 안했다…미리 보는 2025 크리스마스 '케이크 전쟁'

하며 소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단순한 디저트를 넘어 연말의 특별한 분위기를 완성하는 ‘작은 사치’의 상징으로 자리 잡은 호텔 케이크 시장의 경쟁은 그 어느 때보다 뜨겁다. 워커힐, 인터컨티넨탈, 포시즌스 등 주요 호텔들이 먼저 화려한 라인업을 공개하며 본격적인 흥행몰이에 나섰다. 이들은 최고급 재료와 예술적인 디자인을 앞세워 브랜드의 자존심을 건 한판 승부를 예고하고 있다.올해 공개된 라인업 중 현재까지 최고가 타이틀은 워커힐 호텔앤리조트가 차지했다. 프랑스어로 ‘하얀 겨울의 빛’을 뜻하는 ‘뤼미에르 블랑슈’ 케이크는 무려 38만 원에 달한다. 눈 덮인 겨울 마을을 연상시키는 화이트초콜릿 장식이 특징인 이 케이크는, 지난해 서울신라호텔이 트러플과 명품 디저트 와인을 넣어 40만 원에 선보였던 최고가 케이크의 아성에 도전한다.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역시 회전목마를 형상화한 50개 한정판 ‘메리고라운드’ 케이크를 35만 원에, 포시즌스 호텔 서울은 블랙 트러플 크림을 넣은 30만 원짜리 ‘다이아몬드 포시즌스 리프’를 내놓으며 초고가 경쟁에 불을 지폈다.하지만 모든 호텔 케이크가 혀를 내두를 가격인 것은 아니다. 호텔들은 초고가 시그니처 케이크로 브랜드 이미지를 과시하는 동시에, 보다 합리적인 가격대의 제품들도 함께 선보이며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다. 파라다이스 호텔앤리조트는 약 32cm 높이의 거대한 생딸기 케이크 ‘딸기트리’를 14만 원에, 우체통 모양의 ‘산타 포스트박스’를 10만 원에 출시했다. 그랜드하얏트서울은 ‘초콜릿 바나나 율 로그’ 등 10만 원대 케이크는 물론, ‘페스티브 스타라이트’와 같은 3만~4만 원대의 쁘띠 케이크까지 다양한 가격대의 라인업을 구성해 부담 없이 호텔 디저트를 즐기고 싶은 고객들을 공략하고 있다.이처럼 호텔들이 매년 케이크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크리스마스 케이크가 단순한 상품을 넘어 호텔의 자존심과 이미지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존재가 되었기 때문이다. 한 호텔업계 관계자는 “크리스마스 케이크는 매년 큰 관심을 끄는 만큼, 호텔의 제과 기술력과 창의성을 집약해 선보이는 작품과도 같다”며 “고가의 케이크 외에도 다양한 선택지가 있어 특별한 연말 분위기를 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직 롯데호텔, 신라호텔, 조선호텔 등 전통의 강자들이 출사표를 던지지 않은 상황이라, 이들이 과연 어떤 케이크로 시장의 판도를 흔들고 새로운 최고가 기록을 경신할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