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매일

스포츠매일

"12위 팀으로 추락" 1500억 별의 충격적인 최후... 맨유 팬들 분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고질적인 '거액 영입 실패' 사례로 꼽히는 안토니(24)가 결국 팀을 떠나 스페인 레알 베티스로 임대 이적하게 됐다. 현재 프리미어리그 13위라는 충격적인 성적을 기록 중인 맨유는 1,500억 원이라는 천문학적인 이적료를 투자했던 안토니를 임대 보내며 다시 한번 실패한 투자를 인정해야 했다.

 

이적시장 전문가 파브리지오 로마노 기자는 19일(한국시간) SNS를 통해 안토니의 베티스 임대 이적을 확정적으로 보도했다. 특히 완전 영입 옵션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맨유가 이번 임대를 통해 안토니의 가치 회복을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브라질 출신의 안토니는 2018년 상파울루에서 프로 데뷔 후 52경기 6골 6도움이라는 준수한 성적을 거두며 유럽 무대로 진출했다. 2020년 아약스에서 에릭 텐하흐 감독과 만난 그는 82경기 24골 22도움이라는 화려한 기록을 남기며 승승장구했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2022년 여름, 텐하흐 감독을 따라 맨유로 이적했지만, 이는 그의 커리어에서 전환점이 됐다.

 


프리미어리그의 높은 강도와 빠른 템포는 안토니의 빈약한 피지컬과 맞지 않았다. 맨유에서의 96경기 동안 그가 기록한 12골 5도움이라는 성적은 1,500억 원이라는 이적료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실망스러운 수준이었다. 특히 후벵 아모링 감독 부임 이후 그의 입지는 더욱 좁아졌고, 결국 올겨울 이적시장에서 새로운 도전을 모색하게 됐다.

 

현재 라리가 12위에 머물러 있는 레알 베티스의 마누엘 페예그리니 감독은 안토니 영입에 강한 의지를 보였다. 스페인 매체 'ABC'는 페예그리니 감독이 팀의 취약 포지션인 오른쪽 윙어 자리에 안토니를 투입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안토니 역시 로셀소, 이스코, 페레스 등이 베티스에서 재기에 성공한 선례를 따르고자 한다.

 

주목할 만한 점은 맨유가 이번 임대 이적에서도 재정적 손실을 감수한다는 것이다. 베티스의 재정 상황을 고려해 안토니의 연봉 일부를 보조하기로 했으며, 그 대신 베티스는 안토니에게 일정 수준 이상의 출전 기회를 보장해야 한다. 안토니는 19일 브라이튼전에서 후반 39분 교체 출전하며 맨유 유니폼을 입은 마지막 경기를 치렀지만, 1-3 패배라는 씁쓸한 결과로 작별을 고해야 했다.

 

호텔 예약 불가능? 올여름 숙박시설이 '만실'된 놀라운 현상의 배후

웃도는 무더위가 계속되면서 냉방 시설이 완비된 쇼핑 공간이 '도심 속 피서지'로 각광받고 있다.호텔업계에 따르면 예년보다 일찍 찾아온 폭염 영향으로 주요 휴가지 숙박 시설의 예약률이 급증하고 있다. 롯데리조트 속초는 여름 성수기인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 객실이 거의 만실 상태에 이르렀으며, 부산 L7해운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예약률이 16% 포인트 높아졌다.특히 호텔 내에서 모든 식사와 활동을 해결할 수 있는 '올인클루시브' 패키지 상품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롯데호텔 제주의 올인클루시브 패키지는 7월 판매량이 전월 대비 두 배로 증가했다. 이 패키지는 2박 전용 상품으로 조식과 석식은 물론, 수영장 풀카페에서 치킨, 자장면, 피자 등의 메뉴를 즐길 수 있는 혜택이 포함되어 있다.호텔신라도 제주와 부산 지역 호텔에서 수영장 식음매장의 짬뽕, 칵테일 등이 포함된 패키지 상품이 호응을 얻고 있다. 서울신라호텔의 경우 투숙 기간 무제한 야외 수영장 이용과 30만원 상당의 호텔 내 식음료 혜택이 제공되는 3연박 패키지가 목표치를 50% 초과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조선호텔앤리조트의 부산 지역 호텔들도 7월 26일부터 8월 3일까지 예약률이 작년 동기간 투숙률보다 5% 높아졌다. 이랜드파크가 운영하는 강원, 제주 소재 켄싱턴호텔과 리조트는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 만실이 예상되며, 강원도의 설악밸리와 설악비치는 이미 객실이 모두 채워졌고, 제주권과 경상권도 예약률이 90%를 넘어섰다.도심 속 백화점과 대형마트도 폭염 특수를 누리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7월 1일부터 13일까지 매출과 방문객이 각각 15%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현대백화점과 신세계백화점의 매출도 각각 13.7%, 13.5% 늘었다. 특히 7월 11일과 12일 한낮 기온이 36도까지 오르자 에어컨이 가동되는 백화점으로 소비자들이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여름 정기세일 또한 쇼핑객 증가에 한몫했다. 백화점 3사는 6월 27일부터 7월 13일까지 수백 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최대 50% 할인 행사를 진행했으며, 이른 무더위와 여름 휴가철 쇼핑 수요가 맞물려 매출 상승으로 이어졌다.대형마트도 비슷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롯데마트는 7월 초반 13일간 매출과 방문객이 전년 동기 대비 5%씩 증가했고, 이마트의 창고형 할인매장 트레이더스는 방문객이 15%나 급증했다.폭염으로 인해 냉방 관련 상품 수요도 크게 늘었다. 롯데하이마트의 에어컨과 선풍기 매출은 7월 초반 13일간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50%, 80%가량 증가했으며, 다이소의 휴대용 선풍기 매출은 두 배 이상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