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매일

스포츠매일

다시 찾은 농구 열기! 9053명 팬들의 함성, 프로농구에 봄날을 선물하다

 각종 논란으로 홍역을 겪었던 프로농구가 팬들의 뜨거운 사랑 속에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19일 부산사직체육관에서 열린 '2024~2025 KCC 프로농구 올스타전'에는 무려 9053명의 관중이 운집하며 농구 축제를 만끽했다.

 

티켓 판매는 그야말로 '광클릭' 전쟁이었다. 예매 시작 6분 만에 8800석이 매진되는 기염을 토하며 식지 않은 농구 인기를 증명했다. 경기 당일 현장 판매분까지 순식간에 동나 팬들의 아쉬움을 자아내기도 했다.

 

팬들의 사랑에 보답하듯 선수들은 코트 안팎에서 '역대급' 팬서비스로 화답했다. 경기 시작 전부터 관중석을 찾아 하이파이브를 나누고, 팬들이 직접 선정한 음악에 맞춰 춤 실력까지 뽐냈다.

 


특히 '천사 날개'를 달고 등장한 벨란겔, 전희철 감독과 '아파트 댄스'를 선보인 김선형 등 화려한 퍼포먼스는 팬들의 환호성을 자아내기에 충분했다.

 

경기 내용도 풍성했다. 공식 경기에서는 볼 수 없는 진귀한 장면들이 연출되며 웃음을 자아냈다. 허웅-허훈 형제의 프로 데뷔 후 첫 합체, 구탕의 3연속 덩크슛, 심판으로 변신한 전희철-조동현 감독의 활약은 팬들에게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했다.

 

'크블몽팀'(감독 전희철)과 '공아지팀'(감독 조동현)의 맞대결로 펼쳐진 이날 경기는 142-126, 크블몽팀의 승리로 끝났다. 41점 19리바운드를 기록하며 크블몽팀 승리를 이끈 워니는 2년 연속 올스타전 MVP의 영광을 안았다.

 

3점슛 콘테스트에서는 최성모가, 덩크 콘테스트에서는 조준희가 우승을 차지하며 축제의 주인공이 됐다.

 

한편, 이번 올스타전은 단순한 이벤트 경기를 넘어 팬들과 선수들이 하나 되는 감동의 무대였다. KBL 관계자는 "팬들의 뜨거운 성원에 감사드린다. 앞으로 더욱 발전하는 리그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여름에 오르기 좋은 명산 네 곳, 각기 다른 매력과 산행 포인트 총정리

(779m)은 비로봉, 보현봉, 문수봉, 관음봉, 나한봉 다섯 봉우리로 이루어져 이름 그대로 오봉산이라 불린다. 남쪽으로는 소양호, 북쪽으로는 파로호가 보이는 명당에 자리해 수려한 경관을 자랑한다. 이 산이 특별한 이유는 청평사, 고려정원, 구성폭포 등 명소가 많고, 특히 내륙 산임에도 소양호를 끼고 있어 배를 타고 산행을 시작할 수 있다는 점이다. 과거 청평사는 배를 이용하지 않고는 드나들기 어려워 마지막 배를 놓친 연인들에게 특별한 추억을 남긴 곳이기도 했다. 10여 년 전 오봉산 백치고개가 확대 포장되면서 이런 추억은 역사가 됐지만, 여전히 소양댐에서 출발하는 배편은 인기가 높다. 대부분 등산객은 배후령에서 산행을 시작하며, 표고차가 크지 않아 비교적 쉽게 정상에 오를 수 있다. 다만 암릉이 많아 위험 구간에는 철주와 쇠줄이 설치되어 있으니 초심자들은 주의해야 한다.전라북도 변산반도의 변산(508m)은 바다와 산, 어느 쪽에서 보아도 멋진 풍광을 자랑한다. 서해를 향해 튀어나온 반도 내부 산악지대를 내변산, 바다와 접한 지역을 외변산으로 구분한다. 변산의 여러 봉우리 중 가장 인기 있는 곳은 관음봉과 세봉으로, 이 두 봉우리를 잇는 산줄기가 명찰 내소사를 감싸고 있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일반적인 산행 코스는 내소사 입구 일주문에서 출발해 관음봉 삼거리, 관음봉, 세봉, 세봉 남릉을 거쳐 다시 일주문으로 돌아오는 원점회귀형이다. 직소폭포나 월명암 방면으로 넘어갈 수도 있지만, 차량을 내소사에 주차했다면 되돌아오는 길이 번거로울 수 있다.경상북도 포항시와 영덕군 경계에 위치한 내연산(710m)은 낙동정맥 줄기가 주왕산을 지나 동해안 쪽으로 뻗어 형성된 산이다. 문수산(622m), 삼지봉(내연산 정상, 710m), 향로봉(930m), 우척봉(755m)으로 능선이 이어진다. 완만한 육산이라 단조로워 보일 수 있으나, 20리에 달하는 골짜기에는 12개의 폭포가 자리하고 있다. 청하골 12폭포로 불리는 이 폭포군은 내연골 초입 상생폭포부터 시작해 보현폭, 삼보폭, 장룡폭, 무룡폭을 거쳐 제6폭포 관음폭과 제7폭포 연산폭 일대에서 계곡미의 진수를 보여준다. 산길이 순하고 뚜렷하게 이어지며, 위험 구간에는 안전시설물이 잘 갖춰져 있어 편안한 산행이 가능하다. 보경사에서 시작해 여러 폭포를 거치는 인기 코스는 천천히 걸어도 1시간 정도면 충분히 즐길 수 있다.마지막으로 운문산(1,195m)은 가지산과 함께 영남알프스 산군의 북쪽에 거대한 산줄기를 형성하고 있다. 이 산군의 능선을 따라 경북 청도군과 경주시, 경남 밀양시와 울산광역시의 경계가 이루어져 지역 문화와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동과 영서를 나누는 백두대간만큼이나 이 지역에서는 중요한 산군이다. 가지산과 한 줄기로 연결된 운문산은 능선종주가 가능한 긴 산줄기지만, 대부분의 등산객은 각 봉우리를 별개의 산행지로 인식한다. 특히 산행 시작점의 고도가 낮은 운문산은 정상까지 오르는 데만 약 2시간이 소요될 정도로 고도차가 크다. 석골사에서 시작하는 인기 코스는 물론, 밀양 남명리에서 아랫재를 통해 오르는 코스도 모두 가파른 오르막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