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매일

스포츠매일

돈으로 본 V-리그! 황택의, 양효진, 강소휘가 찜한 연봉은 얼마?

 마침내 베일을 벗은 2025-2026 V-리그의 '돈 잔치' 결과가 공개됐다. 한국배구연맹(KOVO)이 6월 30일부로 선수 등록을 최종 마무리하고, 남녀부 최고 보수 선수 명단부터 각 팀의 평균 연봉, 그리고 리그 전체 샐러리캡 현황까지, V-리그의 재정 상태를 한눈에 보여주는 데이터를 발표한 것이다. 이 수치들은 리그의 현재 위치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엿볼 수 있는 흥미로운 단서가 된다.

 

남자부에서는 KB손해보험의 황택의가 압도적인 존재감을 드러내며 총액 12억 원(연봉 9억, 옵션 3억)으로 '연봉킹' 타이틀을 굳건히 지켰다. 이는 그가 단순한 선수를 넘어 팀의 승패를 좌우하는 리그 최고의 세터임을 증명하는 금액이다. 그의 뒤를 이어 대한항공의 베테랑 한선수가 총액 10억 8천만 원으로 여전한 기량을 과시했으며, FA로 KB손해보험에 새 둥지를 튼 임성진은 8억 5천만 원을 받으며 단숨에 고액 연봉자 대열에 합류, 팀의 기대주로 떠올랐다. 정지석(대한항공, 8억 2천만 원), 허수봉(현대캐피탈, 8억 원), 나경복(KB손해보험, 8억 원) 등도 억대 연봉을 받으며 남자부 스타 플레이어들의 높은 시장 가치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었다.

 

주목할 점은 남자부 전체 평균 보수가 2억 3천 4백만 원으로 지난 시즌(2억 2천 3백만 원) 대비 상승했다는 사실이다. 이는 V-리그 남자부의 전반적인 시장 가치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선수들의 기량 향상과 리그 흥행이 맞물려 나타나는 긍정적인 현상으로 해석된다. 총 7개 구단 111명의 선수가 등록을 마쳤으며, 각 구단은 샐러리캡 40억 1천만 원과 옵션캡 16억 원을 포함한 총 56억 1천만 원의 보수 한도 내에서 선수단을 꾸렸다.

 

여자부에서는 '배구 여제' 현대건설 양효진과 한국도로공사의 강소휘가 나란히 총액 8억 원(연봉 5억, 옵션 3억)으로 공동 연봉퀸에 등극했다. 두 선수는 각 팀의 공격과 수비를 이끄는 핵심이자 리그를 대표하는 아이콘으로서, 그들의 존재감이 보수로도 명확히 드러났다. 페퍼저축은행의 박정아가 7억 7천 5백만 원으로 3위, IBK기업은행 이소영이 7억 원으로 4위, 현대건설 정지윤이 6억 5천만 원으로 5위에 오르며 여자부 역시 스타 플레이어들의 몸값이 치솟고 있음을 보여줬다.

 


여자부 평균 보수 또한 1억 6천 3백만 원으로 지난 시즌(1억 6천 1백만 원)보다 소폭 상승하며 리그의 안정적인 성장을 반영했다. 총 7개 구단 104명의 선수가 등록을 완료했으며, 여자부 샐러리캡은 21억 원, 옵션캡 6억 원, 승리수당 3억 원을 포함한 총 30억 원으로 책정되어 남자부와는 다른 규모의 재정 운용이 이루어진다.

 

이번 선수 등록 과정에서 남자부 12명, 여자부 16명 등 총 28명의 선수가 자유신분선수로 등록되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들은 공시일로부터 정규리그 3라운드 종료일까지 어느 구단과도 자유롭게 계약을 맺을 수 있는 자격을 얻게 된다. 이는 선수들에게는 새로운 팀에서 활약할 기회를, 구단에게는 시즌 중 부족한 포지션을 보강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하며 리그의 역동성을 한층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2025-2026 V-리그는 최고 보수 선수들의 면면과 상승하는 평균 보수, 그리고 엄격한 샐러리캡이라는 틀 안에서 각 구단이 어떤 전략으로 팀을 운영해 나갈지 벌써부터 흥미진진한 관전 포인트를 제공한다. 코트 위에서 펼쳐질 치열한 승부뿐만 아니라, 그 이면에 숨겨진 '배구판 경제학' 또한 새 시즌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호캉스·온천만 있으면 만족도 폭발...? 여행객들이 '관광'을 포기하는 이유

HCSI) 결과에 따르면, 7일 미만의 단기 여행이 7일 이상의 장기 여행보다 현저히 높은 만족도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이번 조사는 하나투어가 지난해 패키지 여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 것으로, 특히 단기 여행 중에서도 지역별 만족도는 '시코쿠 4일'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치앙마이 5일'이 2위, '오키나와 4일'이 3위를 기록하며 아시아 근거리 여행지의 인기를 입증했다. 이러한 결과는 바쁜 현대인들이 긴 휴가를 내기 어려운 상황에서 짧고 집중적인 휴식을 선호하는 경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여행 테마별 만족도 분석에서는 '지속가능한 여행'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그 뒤를 '힐링휴양', '다이닝·미식', '관광+자유', '관광' 순으로 이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모든 비행시간대에서 호캉스, 온천호텔, 충분한 자유시간 등을 포함한 '힐링휴양' 테마 상품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이는 여행객들이 패키지 여행을 통해 일상에서 벗어나 확실한 휴식과 재충전을 원한다는 심리를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된다.비행시간별 만족도를 살펴보면, '4시간~8시간'의 중거리 비행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기록했고, '4시간 미만'의 근거리와 '8시간 이상'의 장거리 비행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4시간~8시간 비행 구간에서는 4일, 5일, 6일 순으로 일정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 비행시간대에 속하는 여행지 중에서는 치앙마이, 다낭, 라오스 등 동남아시아 지역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이러한 조사 결과는 최근 여행 시장에서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는 '퀵턴(Quick Turn)' 여행 트렌드와도 일맥상통한다. 퀵턴은 짧은 기간 동안 빠르게 다녀오는 여행을 의미하는 것으로, 긴 휴가를 내기 어려운 직장인들 사이에서 주말이나 연휴를 활용한 짧은 해외여행이 인기를 끌고 있는 현상을 반영한다.하나투어 관계자는 "최근 여행객들 사이에서 근거리·단기간 여행이 확고한 트렌드로 자리잡았다"며 "퀵턴 여행의 인기와 더불어 주 4일제 시행 가능성도 논의되면서 단거리 여행 수요는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이러한 여행 트렌드 변화는 코로나19 이후 여행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짧지만 질 높은 휴식을 추구하는 여행객들의 니즈가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특히 검증된 패키지 여행 상품을 통해 효율적으로 휴식을 취하려는 현대인들의 실용적인 여행 방식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