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매일

스포츠매일

'스마일 점퍼' 우상혁, 모나코에서 또 활짝 웃을까요?

 대한민국 높이뛰기의 간판, '스마일 점퍼' 우상혁(29·용인시청)이 커리어 사상 처음으로 단일 시즌 다이아몬드리그 개별 대회 2회 우승이라는 금자탑에 도전한다. 오는 12일 오전 2시 55분(한국 시간), 2025 세계육상연맹 모나코 다이아몬드리그 남자 높이뛰기 경기에 출격하는 그의 발걸음에 전 세계 육상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다이아몬드리그는 세계 육상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대회 시리즈로 손꼽힌다. 남자 높이뛰기 종목의 경우, 4월부터 9월까지 전 세계 14개 지역에서 펼쳐지는 예선 대회들을 통해 파이널 라운드 진출자를 가린다. 각 대회에서 8위권 이내에 진입한 선수들은 순위에 따라 8점부터 1점까지의 랭킹 포인트를 획득하게 되며, 이 포인트들을 합산하여 최종적으로 상위 6명만이 대망의 파이널 라운드에 오를 자격을 얻는다. 우상혁 선수는 2022년부터 꾸준히 다이아몬드리그에 참가하여 매년 한 차례씩 개별 대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특히 2023년에는 파이널 라운드에서 2m35의 기록으로 정상에 등극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이번 시즌 우상혁의 기세는 그야말로 파죽지세다. 비록 아시아선수권 준비로 카타르 도하, 모로코 라바트 대회에는 불참했지만, 2025년 들어 그의 경기력은 절정에 달해 있다. 실내 시즌에 열린 체코, 슬로바키아, 중국 난징 등 3개 대회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하며 기분 좋은 출발을 알렸고, 실외 시즌에서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5월 10일 왓그래비티챌린지, 5월 29일 구미 아시아선수권에 이어 지난달 7일 로마 다이아몬드리그까지 1위를 차지하며 국제대회 6연승이라는 경이로운 기록을 세웠다. 이는 2022년 수립했던 개인 국제대회 최다 연승 기록(4연승)을 훌쩍 뛰어넘는 대기록이다.

 

로마 대회 우승 직후 유럽에 남아 독일에서 꾸준히 훈련을 이어온 우상혁은 지난 10일 모나코에 도착해 생애 첫 단일 시즌 다이아몬드리그 2회 우승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한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 로마에 이어 모나코까지 정복한다면, 그는 명실상부한 세계 최고의 높이뛰기 선수 반열에 오르게 될 것이다.

 


물론, 모나코의 하늘은 우상혁에게만 열려 있는 것이 아니다. 이번 대회에는 세계 정상급 높이뛰기 선수들이 대거 출전해 치열한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파리 올림픽 챔피언 해미시 커(뉴질랜드)를 비롯해 파리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셸비 매큐언(미국), 유럽팀선수권 우승자 얀 스테펠라(체코) 등이 우상혁의 아성에 도전한다. 또한, 이번 시즌 2m34를 뛰어넘어 현재 시즌 기록 순위 1위를 달리고 있는 올레 도로슈크(우크라이나)와 2023년 세계선수권 은메달리스트 주본 해리슨(미국) 역시 우승을 노리고 있어 한 치의 양보 없는 승부가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우상혁은 특유의 환한 미소와 긍정적인 에너지로 경기에 임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번 모나코 대회에서도 그의 '스마일 점퍼'다운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한다면, 7연승이라는 대기록과 함께 단일 시즌 2회 우승이라는 새로운 역사를 써 내려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번 모나코 다이아몬드리그는 우상혁 외에도 세계적인 육상 스타들이 총출동하는 그야말로 '별들의 전쟁'이 될 전망이다. 파리 올림픽 남자 100m 챔피언 노아 라일스(미국)와 200m 금메달리스트 레칠레 테보고(보츠와나), 파리 올림픽 여자 100m 우승자 쥘리앵 앨프리드(세인트루시아), 그리고 남자 장대높이뛰기의 '인간 새' 아먼드 듀플랜티스(스웨덴) 등 각 종목을 대표하는 최정상급 선수들이 대거 출전해 육상 팬들에게 잊지 못할 밤을 선사할 예정이다. 우상혁이 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한국 육상의 위상을 드높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호캉스·온천만 있으면 만족도 폭발...? 여행객들이 '관광'을 포기하는 이유

HCSI) 결과에 따르면, 7일 미만의 단기 여행이 7일 이상의 장기 여행보다 현저히 높은 만족도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이번 조사는 하나투어가 지난해 패키지 여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 것으로, 특히 단기 여행 중에서도 지역별 만족도는 '시코쿠 4일'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치앙마이 5일'이 2위, '오키나와 4일'이 3위를 기록하며 아시아 근거리 여행지의 인기를 입증했다. 이러한 결과는 바쁜 현대인들이 긴 휴가를 내기 어려운 상황에서 짧고 집중적인 휴식을 선호하는 경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여행 테마별 만족도 분석에서는 '지속가능한 여행'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그 뒤를 '힐링휴양', '다이닝·미식', '관광+자유', '관광' 순으로 이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모든 비행시간대에서 호캉스, 온천호텔, 충분한 자유시간 등을 포함한 '힐링휴양' 테마 상품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이는 여행객들이 패키지 여행을 통해 일상에서 벗어나 확실한 휴식과 재충전을 원한다는 심리를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된다.비행시간별 만족도를 살펴보면, '4시간~8시간'의 중거리 비행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기록했고, '4시간 미만'의 근거리와 '8시간 이상'의 장거리 비행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4시간~8시간 비행 구간에서는 4일, 5일, 6일 순으로 일정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 비행시간대에 속하는 여행지 중에서는 치앙마이, 다낭, 라오스 등 동남아시아 지역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이러한 조사 결과는 최근 여행 시장에서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는 '퀵턴(Quick Turn)' 여행 트렌드와도 일맥상통한다. 퀵턴은 짧은 기간 동안 빠르게 다녀오는 여행을 의미하는 것으로, 긴 휴가를 내기 어려운 직장인들 사이에서 주말이나 연휴를 활용한 짧은 해외여행이 인기를 끌고 있는 현상을 반영한다.하나투어 관계자는 "최근 여행객들 사이에서 근거리·단기간 여행이 확고한 트렌드로 자리잡았다"며 "퀵턴 여행의 인기와 더불어 주 4일제 시행 가능성도 논의되면서 단거리 여행 수요는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이러한 여행 트렌드 변화는 코로나19 이후 여행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짧지만 질 높은 휴식을 추구하는 여행객들의 니즈가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특히 검증된 패키지 여행 상품을 통해 효율적으로 휴식을 취하려는 현대인들의 실용적인 여행 방식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