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매일

스포츠매일

"홍명보호, 민심은 이미 떠났다"…브라질전 참패 후폭풍, 파라과이전 '관중 실종' 사태

 브라질에 당한 0-5 대패의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또 다른 시험대에 오른다. 대표팀은 14일 저녁 8시,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파라과이와 하나은행 초청 친선경기를 갖는다. 지난 10일 브라질과의 경기에서 보여준 무기력한 경기력은 많은 축구 팬들에게 실망감을 안겨주었다. 공격과 수비 양면에서 총체적인 난국을 드러내며 무득점 5실점이라는 참담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특히 홍명보 감독이 야심 차게 꺼내 들었던 스리백 전술은 여전히 대표팀에 녹아들지 못한 채 겉돌았고, 이는 지난 6월 부임 이후 팀을 빠르게 안정시킨 카를로 안첼로티 감독의 지도력과 비교되며 아쉬움을 더했다. 브라질전의 치욕적인 패배는 단순히 한 경기의 패배를 넘어, 대표팀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낳게 했다.

 

브라질전의 경기 내용과 결과는 실망스러웠지만, 흥행 면에서는 성공적이었다.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63,237명의 관중이 서울월드컵경기장을 가득 메우며 사실상 매진을 기록했다. 4개월 만에 열리는 홈경기라는 점과 더불어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카세미루 등 세계적인 축구 스타들의 방한이 팬들의 발걸음을 경기장으로 이끌었다. 하지만 파라과이전의 흥행 전망은 암울하기만 하다. 경기 당일 오전 10시 기준으로 예매 가능한 좌석이 45,538석에 달한다는 것은 실제 예매 관중이 2만 명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브라질전과 비교했을 때 현저히 낮은 수치이며, 대표팀 경기에 대한 팬들의 관심이 얼마나 급격하게 식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다.

 


사실 대표팀 홈경기에 대한 열기는 지난해 7월 홍명보 감독 부임 이후 불거진 여러 논란으로 인해 꾸준히 하락세를 보여왔다. 특히 65,00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 구장인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의 관중 감소는 더욱 두드러졌다. 지난해 9월 팔레스타인전(59,579명)과 올해 6월 쿠웨이트전(41,911명) 모두 매진에 실패했으며, 이는 대표팀의 경기력과 성적에 대한 팬들의 불만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대한축구협회가 지난 7월 동아시안컵 흥행 부진을 만회하기 위해 내놓았던 '10% 할인 프로모션' 역시 이번 파라과이전의 저조한 예매 현황을 통해 사실상 실패로 돌아갔음이 증명되었다. 팬들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서는 할인 혜택과 같은 단기적인 처방이 아닌, 경기력 향상과 팬들과의 소통을 통한 근본적인 신뢰 회복이 시급하다.

 

이러한 암울한 분위기 속에서 한국 축구의 '살아있는 전설' 손흥민의 A매치 최다 출장 기념식마저 썰렁하게 치러질 위기에 처했다. 손흥민은 지난 브라질전 출전으로 A매치 137경기를 기록하며 차범근과 홍명보가 가지고 있던 종전 최다 기록(136경기)을 넘어섰다. 대한축구협회는 파라과이전 킥오프에 앞서 차범근 전 감독이 직접 손흥민에게 기념 유니폼을 전달하는 'Legend Old & New – From Cha, To. Son' 행사를 준비했지만, 3만 명도 채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관중 앞에서 치러지는 행사는 그 의미가 퇴색될 수밖에 없다. 대표팀의 부진과 팬들의 외면 속에서 쓸쓸하게 진행될지도 모르는 손흥민의 기념식은 현재 한국 축구가 처한 위기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 될 것이다.

 

 

 

"순천만 비켜!"…'국가정원' 타이틀 노리고 부산에 상륙한 30개 명품 정원

'2025 부산가든쇼'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지난해까지 '부산정원박람회'라는 이름으로 열렸던 이 행사는 올해부터 명칭을 바꾸고 '즐거움 셋, 정원 하나'라는 새로운 주제 아래 한층 더 풍성하고 다채로운 볼거리로 시민들을 맞이할 준비를 마쳤다. 단순한 꽃과 나무의 전시를 넘어, 세계적인 정원 작가들의 예술혼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그리고 시민들의 참여가 한데 어우러지는 종합 예술 축제로서의 도약을 예고하고 있다. 이번 행사를 통해 사상구는 삼락생태공원을 순천만이나 태화강을 넘어서는 대한민국 대표 정원 명소로 발돋움시키겠다는 야심 찬 포부를 드러냈다.이번 가든쇼의 가장 큰 볼거리는 단연 국내외에서 명성을 떨치고 있는 유명 작가들의 작품이다. 세계적인 정원디자이너 황지해 작가는 '헤이븐(Haven)'이라는 작품을 통해 복잡한 도시 생활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자연 속 온전한 안식처를 선사한다. 또한, 자연의 유기적인 순환과 조화를 독창적인 형태로 표현해 온 손경석 작가는 '오가닉 링스(Organic rings)'를 통해 방문객들에게 깊은 생태적 영감을 전달할 예정이다. 이 두 거장의 작품을 필두로, 부산 사상·동래·남구 등 지역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작가들의 개성 넘치는 '지역 작가정원', 서울시와의 교류를 통해 조성되는 '교류 정원', 그리고 시민 정원사와 학생들이 직접 기획하고 가꾼 '시민참여정원' 등 총 30여 개의 다채로운 정원들이 관람객들의 발길을 기다린다. 이는 전문가의 영역으로만 여겨졌던 정원 조성을 시민의 일상으로 끌어들이고, 정원 문화의 저변을 확대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특히 올해는 부산도시공사, 부산은행, LG전자 등 7개 기업이 참여하는 'ESG(사회·가치·경영) 기업 동행 정원'이 새롭게 마련되어 눈길을 끈다. 이들 기업은 단순히 브랜드를 홍보하는 차원을 넘어, 낙동강 하구의 자연환경과 철새 도래지, 습지, 수생식물 군락 등 지역의 생태적 가치를 주제로 삼아 지속 가능한 녹색정원을 선보인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아름다운 정원 예술로 승화시킨 이번 시도는 방문객들에게는 색다른 볼거리를, 참여 기업에게는 친환경 이미지를 제고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밖에도 행사 기간 동안 정원 속에서 즐기는 '가든 음악회', 자연과 하나 되어 심신을 단련하는 '가든 요가·필라테스', 삼락생태공원의 자연을 깊이 있게 체험하는 '생태 녹색관광' 등 오감을 만족시키는 다채로운 부대 프로그램이 운영되어 관람의 즐거움을 더할 예정이다.사상구는 이번 부산가든쇼를 일회성 행사로 끝내지 않고, 매년 국내외 저명 작가들의 작품을 지속적으로 유치하고 이를 상설 공간으로 남겨 삼락생태공원의 가치를 극대화한다는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있다. 조병길 사상구청장이 "부산가든쇼를 통해 사상이 순천만과 태화강을 넘어서는 새로운 국가 정원의 중심으로 도약하길 바란다"고 밝힌 것처럼, 이번 행사는 부산이 세계적인 정원 도시로 나아가는 중요한 첫걸음이 될 전망이다. 16일 오전 11시 개막식을 시작으로 나흘간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무료로 개방되는 이번 가든쇼가 삭막한 도시의 일상에 지친 시민들에게 푸르른 위로와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