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Culture

62년 만의 변화... '문화재', '국가유산'으로 새롭게 태어나다

 ‘문화재’라는 용어가 62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앞으로는 ‘국가유산’으로 불리게 되며, 이에 따라 문화재청도 ‘국가유산청’으로 이름을 변경한다. 이러한 변화는 5월 17일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른 것이다.

 

‘문화재’는 1962년에 일본의 법을 참고하여 문화재보호법을 제정하면서 생긴 단어다. 그러나 무형유산과 보유자를 재화로 간주하고 천연기념물을 포함하지 못하는 등 여러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새로운 용어인 ‘국가유산’은 한국의 특수한 가치와 인류 보편의 가치를 모두 포괄하며, 문화유산, 자연유산, 무형유산으로 구분된다. 기존의 국가무형문화재, 국가민속문화재, 등록문화재는 각각 국가무형유산, 국가민속문화유산, 등록문화유산으로 바뀐다.

 

국가유산청은 문화유산의 보존과 관리뿐만 아니라 활용과 미래 가치 창출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국가유산청장 최응천은 "기성 유산과 미래 가치를 품은 유산들이 온전히 보존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국가유산 주변 지역의 규제를 완화해 주민과 상생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바뀔 예정이다. 제작된 지 50년 이상 된 미술품 등의 국외 반출 규제도 완화된다. 예비문화유산 제도를 통해 서울올림픽 개막식의 굴렁쇠와 김연아의 스케이트 등 역사적 가치가 있는 물품을 보존할 계획이다.

 

국가유산청의 출범을 기념하기 위해 국가유산 명소 76곳이 한시적으로 무료 개방되어 5월 19일까지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등에서 입장료가 면제된다. 그리고 21일에는 경복궁 근정전에서 아이돌 그룹 뉴진스와 송가인 등의 축하 공연이 예정되어 있다. 근정전은 조선시대 중대한 의식이 거행된 건물로, 대중 공연을 위해 개방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주목하고 있다.

 

가을 감성 폭발! 6만 5천 송이 국화가 춤추는 양산 황산공원

양산국화축제'를 개최한다고 13일 밝혔다.올해로 스물한 번째를 맞이하는 양산국화축제는 총 6만 5천여 점에 달하는 다채로운 국화 작품들이 관람객을 맞이할 준비를 마쳤다. 이번 축제의 백미는 단연 국화 작품들이다. 소국 6만 2천200여 점을 필두로, 예술성이 돋보이는 국화 분재 300여 점, 화려한 다륜 국화와 독창적인 조형물 500여 점, 그리고 풍성한 복조작 2천여 점 등 다양한 종류의 국화가 가을의 정취를 오감으로 느낄 수 있도록 다채롭게 꾸며진다. 숙련된 전문가들의 손길로 탄생한 국화 작품들은 방문객들에게 깊은 감동과 함께 잊지 못할 가을 추억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특히 올해는 '2026년 양산 방문의 해'를 앞두고 양산시의 공식 관광 캐릭터인 '호잇'과 '뿌용'의 대형 조형물이 함께 전시되어 축제의 재미를 더한다. 귀여운 캐릭터 조형물은 아이들에게는 동심을, 어른들에게는 유쾌한 웃음을 선사하며 인기 있는 포토존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또한, 황산공원 곳곳에는 코스모스, 백일홍, 박, 댑싸리 등 가을을 대표하는 꽃들이 만개하여 방문객들에게 또 다른 볼거리를 제공한다. 국화와 어우러진 다양한 가을꽃들은 공원 전체를 거대한 가을 정원으로 변모시키며, 깊어가는 가을날의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가 될 전망이다.양산시 관계자는 "축제가 안전하고 쾌적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모든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며, "깊어가는 가을, 황산공원에서 펼쳐지는 국화의 향연 속에서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어 가시길 바란다"고 전했다.양산국화축제는 가족, 연인, 친구 등 남녀노소 누구나 아름다운 가을 추억을 만들고 힐링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최적의 장소로 기대를 모은다. 가을의 절정에서 만나는 국화의 아름다움과 함께 양산 황산공원에서 특별한 가을날을 만끽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