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Culture

62년 만의 변화... '문화재', '국가유산'으로 새롭게 태어나다

 ‘문화재’라는 용어가 62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앞으로는 ‘국가유산’으로 불리게 되며, 이에 따라 문화재청도 ‘국가유산청’으로 이름을 변경한다. 이러한 변화는 5월 17일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른 것이다.

 

‘문화재’는 1962년에 일본의 법을 참고하여 문화재보호법을 제정하면서 생긴 단어다. 그러나 무형유산과 보유자를 재화로 간주하고 천연기념물을 포함하지 못하는 등 여러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새로운 용어인 ‘국가유산’은 한국의 특수한 가치와 인류 보편의 가치를 모두 포괄하며, 문화유산, 자연유산, 무형유산으로 구분된다. 기존의 국가무형문화재, 국가민속문화재, 등록문화재는 각각 국가무형유산, 국가민속문화유산, 등록문화유산으로 바뀐다.

 

국가유산청은 문화유산의 보존과 관리뿐만 아니라 활용과 미래 가치 창출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국가유산청장 최응천은 "기성 유산과 미래 가치를 품은 유산들이 온전히 보존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국가유산 주변 지역의 규제를 완화해 주민과 상생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바뀔 예정이다. 제작된 지 50년 이상 된 미술품 등의 국외 반출 규제도 완화된다. 예비문화유산 제도를 통해 서울올림픽 개막식의 굴렁쇠와 김연아의 스케이트 등 역사적 가치가 있는 물품을 보존할 계획이다.

 

국가유산청의 출범을 기념하기 위해 국가유산 명소 76곳이 한시적으로 무료 개방되어 5월 19일까지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등에서 입장료가 면제된다. 그리고 21일에는 경복궁 근정전에서 아이돌 그룹 뉴진스와 송가인 등의 축하 공연이 예정되어 있다. 근정전은 조선시대 중대한 의식이 거행된 건물로, 대중 공연을 위해 개방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주목하고 있다.

 

트럼프 치즈버거 먹고 호텔 숙박까지…10만원대 ‘APEC 풀코스’ 여행 떴다

체가 활기로 넘치고 있다. 실제 통계에 따르면 APEC 개최 기간을 포함한 약 한 달간 경주를 찾은 외지인 방문객은 전년 동기 대비 22.8% 증가한 589만여 명에 달했으며, 특히 외국인 방문객은 35.6%나 급증하며 APEC 효과를 톡톡히 증명했다. 국립경주박물관에서는 금관 특별전을 보기 위한 ‘오픈런’ 현상까지 벌어지는 등, APEC이 경주에 남긴 유산이 단순한 국제 행사를 넘어 실질적인 관광 특수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이러한 폭발적인 관심에 부응하여 경북문화관광공사는 APEC의 감동과 여운을 그대로 체험할 수 있는 1박 2일 일정의 ‘경주 APEC 트레일’ 여행상품을 선보였다. 이 상품의 핵심은 세계 정상들의 동선을 따라가며 당시의 순간들을 직접 경험하는 ‘스토리텔링 여행’이라는 점이다. 여행객들은 APEC 정상회의장이 그대로 재현된 경주엑스포공원에서 21개국 정상들의 치열했던 논의 현장을 둘러보고, 힐튼호텔로 이동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특별 주문해 화제가 되었던 ‘트럼프 치즈버거’를 맛보는 특별한 경험을 하게 된다. 저녁에는 보문단지 호반광장에 새롭게 조성된 APEC 상징조형물과 미디어아트 쇼를 감상하며 정상회의의 추억을 되새긴다.여행의 즐거움은 정상들의 ‘입맛’을 따라가는 미식 체험으로 이어진다. 트럼프 치즈버거 외에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만찬상에 이틀 연속 올라갔던 코오롱호텔의 해물파전, 존 리 홍콩 행정수반이 극찬한 중앙시장의 소머리국밥이 일정에 포함되어 여행의 풍미를 더한다. 식사 후에는 정상들의 배우자들이 방문했던 불국사의 고즈넉한 아름다움을 느끼고, 캐롤라인 레빗 미국 백악관 대변인이 방문해 세계적인 명소가 된 황리단길을 거닐 수 있다. 또한 APEC 만찬주로 선정된 교동법주와 시진핑 주석의 입맛을 사로잡은 황남빵을 기념품으로 구매하며 여행을 마무리할 수 있다.단순히 보고 즐기는 여행을 넘어, APEC이라는 역사적 사건의 현장을 직접 밟고 그들이 먹었던 음식을 맛보는 이 독특한 여행상품은 1인 기준 10만 원대의 합리적인 가격으로 출시되었다. 여기에는 수도권 왕복 버스, 숙박과 3번의 식사, 관광지 입장료 및 가이드 비용까지 모두 포함되어 있다. 경북문화관광공사는 이번 상품을 통해 APEC이 남긴 감동을 지속 가능한 관광 자원으로 확장하고, 경주만의 브랜드 가치를 한 단계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정상회의의 기억을 단순한 뉴스가 아닌, 오감으로 체험하는 특별한 이야기로 만들어낸 경주의 새로운 시도가 관광 시장에 신선한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