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Culture

스파이로 몰린 무고한 목숨, 구메지마의 기록

 1945년 태평양 전쟁 당시 오키나와 서쪽의 작은 섬 구메지마에서 일어난 실화를 바탕으로 한 소설이 출간되었다. 해당 작품은 일본군이 20명의 선량한 주민을 '미군의 스파이'로 몰아 가혹하게 학살한 사건을 다룬다.

 

역사적 기록과 생존자들의 진술을 바탕으로 한 이 소설은 오키나와의 전쟁 상황과 섬의 현실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있다. 구메지마에서는 당시 민간인들이 스파이 혐의로 일본군에 의해 총검으로 처형되었고, 그 가족들은 비통함에 빠져 자살했다. 전쟁의 폭력과 스파이 공포증으로 인해 발생한 참상이다.

 

구메지마 주민 학살은 단순히 '스파이'라는 단어로 설명하기 어려운 복잡한 사건으로, 동아시아 전역의 전쟁 참사가 이를 더욱 악화시켰다. 작가는 섬에서 벌어진 전쟁의 폭력과 죽음을 깊이 있고 생생하게 묘사하며, 그 상황을 예리한 통찰과 상상력으로 파헤친다.

 

소설은 총 12부로 구성되었지만, 그중 제목이 붙은 건 넷뿐이다. 1부는 '9명', 4부는 '1명', 9부는 '3명', 12부는 '7명'으로 지어져 있는데, 이는 각 부에서 참살당한 주민 수를 나타낸다. 다른 부는 제목이 공백으로 남겨져 있다.

 

소설의 배경은 오키나와지만, 한국의 식민지 역사와 전쟁의 상처가 서로 교차하는 점을 생각할 때, 작품이 한국 독자들에게 익숙할 것으로 생각된다. 전쟁의 아픔을 공유하고, 역사적 절망 속에서도 희망의 빛을 발견하게 한다.

 

김숨 지음, 모요사 펴냄, 1만 9000원 

 

4050, 교복 입고 설악산 수학여행 떠나는 기막힌 이유

1월 한 달간, 장기 침체에 빠진 설악동 관광지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2025 설악동 활성화 프로그램-추억감성여행'을 총 4회에 걸쳐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단순한 관광 상품을 넘어, 아련한 향수를 자극하는 '레트로' 감성과 설악산의 수려한 자연 및 속초 고유의 지역 자원을 결합한 1박 2일 체류형 체험 콘텐츠다. 한 팀당 약 15명, 총 60명 규모로 진행되는 이 실험적인 여행이 과연 설악동의 부활을 이끄는 신호탄이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이번 '추억감성여행'의 핵심 콘셉트는 바로 '다시 떠나는 수학여행'이다. 참가자들은 빛바랜 사진 속에서나 볼 법한 옛 교복을 맞춰 입고, 마치 학창 시절로 돌아간 듯한 설렘을 안고 1박 2일의 여정을 시작한다. 여행의 동선은 속초와 설악동의 매력을 온전히 느낄 수 있도록 세심하게 짜였다. 실향민의 애환이 서린 아바이마을을 전문 해설사와 함께 둘러보고, 직접 함경도식 만두를 빚으며 그들의 문화를 체험한다. 이어서 설악산의 백미로 꼽히는 케이블카에 탑승해 울긋불긋한 단풍과 어우러진 권금성의 절경을 감상하고, 활기 넘치는 속초관광수산시장을 방문해 동해의 싱싱한 먹거리를 맛본다. 이튿날에는 고즈넉한 사찰에서 불교 문화를 체험하고, 만추의 정취가 물씬 풍기는 설악산 단풍길을 트레킹하며 여행의 대미를 장식한다.속초시가 이처럼 '추억'을 전면에 내세운 데에는 분명한 목적이 있다. 이번 프로그램은 특정 세대만을 겨냥하는 것이 아니라, 중장년층과 젊은 세대를 모두 아우르는 영리한 전략을 구사한다. 교복을 입고 떠나는 수학여행이라는 콘셉트는 40~60대 중장년층에게는 아련한 향수와 함께 젊은 날의 추억을 소환하는 감동적인 경험을 선사한다. 동시에, 옛것에서 새로움과 재미를 찾는 '뉴트로(New-tro)' 트렌드에 열광하는 20~30대 젊은 세대에게는 독특하고 이색적인 체험형 콘텐츠로 매력을 어필한다. 이처럼 세대를 초월한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추억감성여행'은 단순한 관광을 넘어 부모와 자녀가 함께 소통하고 즐기는 특별한 시간을 만들어낼 것으로 기대된다.나아가 이번 프로그램은 관광객 유치를 통한 지역 상권 활성화라는 실질적인 목표를 품고 있다. 참가자들의 숙박을 설악동 내 숙박 단지와 직접 연계하고, 식사 및 체험 활동을 지역 업체들과 함께 진행함으로써 관광객의 소비가 지역 경제에 실질적인 보탬이 되도록 설계했다. 이병선 속초시장은 "11월의 속초는 가을 여행의 최적기"라며, "이번 여행은 단순한 관광을 넘어 세대 간 공감대를 형성하고 자연과 문화를 함께 즐기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과연 수십 년의 추억을 소환하는 이번 감성 여행이 깊은 침체의 늪에 빠진 설악동에 새로운 희망의 바람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 그 결과에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