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Culture

'급류’ 역주행.."사랑에는 정답이 없어"

정대건 작가의 장편소설 ‘급류’가 최근 역주행하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2021년 민음사에서 출간된 이 작품은 2024년 9월부터 SNS를 중심으로 입소문을 타기 시작하며 판매량이 급증했다. 책의 매력은 단순히 문학적 성취를 넘어서, 감동적인 이야기와 그 안에서 울리는 보편적인 감정선에 있다. 특히, 이 소설은 청소년과 젊은 층에서 큰 반응을 얻었으며, 다양한 사랑 이야기를 담고 있어 많은 독자들이 공감하고 있다. ‘급류’는 정대건 작가의 두 번째 장편소설로, 이전의 경쾌한 분위기와는 달리 어둡고 무거운 주제를 다룬다. 소도시에서 첫사랑을 경험하는 두 주인공이 맞닥뜨린 인생의 위기를 그리며, 그들의 감정선이 점차 파국으로 치닫는 과정을 그려낸다.

 

정 작가는 소설을 집필하면서 자신의 과거의 상처와 감정을 재료로 삼았다고 밝혔다. 그는 “내 감정을 재료로 삼아야 하기에 지나온 힘든 시절을 곱씹기도 하고 그 시절에 머무르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작가는 심리적으로 어려운 시기를 겪기도 했으며, 그의 진심 어린 감정이 소설에 녹아들었다는 점에서 독자들은 큰 위안을 얻을 수 있었다.

 

‘급류’가 입소문을 타게 된 이유 중 하나는 이 책이 단순히 청소년기의 사랑 이야기를 넘어 성장 소설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빠르게 읽히고 감동을 주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독서 경험이 부족한 청소년들에게 입문서로 추천되고 있다. 또한, 정 작가는 사랑의 정의를 내리기 어렵다고 말하며, ‘급류’ 속 인물들이 겪는 다양한 사랑의 형태를 그려냄으로써, 독자들에게 각기 다른 형태의 사랑을 보여주었다.

 

책이 주목을 받는 이유는 또한 그 내용뿐만 아니라, 정대건 작가가 개인적으로 느끼고 경험한 어두운 시기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빛을 찾으려는 태도를 보여준다는 점이다. 정 작가는 산문집 ‘나의 파란, 나폴리’에서도 문학의 가치를 “어둠 속에서도 어떻게든 빛을 찾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급류’에서 묘사되는 어두운 정서와 깊은 감정들이 결국에는 독자들에게 위안을 주는 빛을 발견하는 과정으로 이어짐을 시사한다.

 

정대건 작가는 문학이 그에게 제공한 위로와 치유의 가치를 잘 알고 있으며, ‘급류’는 그의 문학적 성찰이 집약된 작품이다. 책이 입소문을 타고 베스트셀러에 오른 것도, 그만큼 사람들이 이 책을 통해 감정적으로 공감하고 위안을 얻었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그저 사랑 이야기가 아닌, 인간의 성장과 아픔을 진지하게 다룬 작품으로, 독자들에게 오래도록 여운을 남기며 그들의 마음속에서 자리를 잡았다.

 

'7말8초' 대한민국 대이동 예고... 강원도·제주도·부산 TOP3 차지

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여름 국내 여행을 떠난다는 응답이 52.7%로 작년보다 17%포인트나 증가했다.반면,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응답자는 25.9%로 전년 대비 5.2%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국내여행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특히 국내 여행지 중에서는 강원도가 18.1%로 1위를 차지했지만, 작년보다는 7.8%포인트 감소한 수치를 보였다. 제주도가 17.3%로 2위, 부산이 12.2%로 3위를 차지하며 인기 여행지로 자리매김했다.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 중에서는 동남아를 선택한 비율이 30.8%로 가장 높았고, 일본이 30.4%로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했다. 유럽을 선택한 응답자도 14.6%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다.휴가 시기는 7월 마지막 주(29.1%)와 8월 첫째 주(22.5%)에 집중되어, 이른바 '7말8초'에 과반수의 사람들이 휴가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는 전통적으로 한국의 여름 휴가 성수기로, 많은 직장인들이 집중적으로 휴가를 사용하는 기간이다.예상 지출 비용을 살펴보면, 국내여행의 경우 1인당 '50만원에서 100만원' 사이를 예상한 응답자가 36.8%로 가장 많았다. 해외여행은 '100만원에서 200만원' 사이라고 답한 비율이 27.7%로 가장 높았다. 이는 해외여행이 국내여행보다 평균적으로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됨을 보여준다.여름 휴가지를 선정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관광지와 놀거리'(54.8%), '음식'(48.8%), '비용'(41.7%)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용 측면은 여행 계획 수립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한편, 올해 여름휴가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들도 30.9%에 달했다. 이들이 휴가를 계획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경제적 부담'(42.3%)이 가장 많았고, '성수기라 사람이 많을 것 같아서'(29.4%), '휴가를 가야 할 이유를 크게 못 느껴서'(22.9%) 순으로 응답했다. 이는 경제적 상황이 여행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휴가를 가지 않기로 한 응답자들은 아낀 휴가 비용을 생활비(37.4%), 적금·저축(15.3%), 주식 투자(6.8%) 등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여행 대신 재정적 안정을 위한 선택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이번 조사 결과는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여행 트렌드와 경제적 상황이 여름휴가 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볼 수 있다. 특히 국내여행 선호도가 크게 증가한 점은 국내 관광 산업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