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Culture

'오징어게임2 본 외국인들, '한국 놀이문화' 때문에 大난리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게임' 시즌2가 한국의 전통 놀이를 전 세계에 알리는 새로운 문화 현상을 만들어내고 있다. 특히 시즌1의 달고나 열풍에 이어, 이번에는 공기놀이가 글로벌 트렌드로 부상하며 'K-민속놀이'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

 

공기놀이는 시리즈의 4화 '여섯 개의 다리'에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배우 강하늘이 연기한 강대호가 선보인 공기놀이 장면은 틱톡에서만 1680만 회 이상의 조회 수를 기록했다. 이는 단순한 장면 공유를 넘어 'Gonggi game'과 'Gonggi challenge'라는 해시태그와 함께 전 세계 젊은이들 사이에서 도전 과제로 자리 잡았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수년 전 업로드된 한국 전통 놀이 소개 영상들이 역주행하며 새로운 관심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공기놀이의 매력은 단순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상당한 기술과 집중력을 요구하는 게임성에 있다. 5개의 공깃돌로 진행되는 이 게임은 총 5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마다 고유한 규칙이 적용된다. 기본적으로 한 개의 돌을 공중에 던진 후, 땅에 있는 다른 돌을 집어 올리고 던진 돌을 받아내야 한다. 여기에 공깃돌끼리 부딪치지 않아야 하고, 던지기 전 흔들기 금지 등 세부 규칙이 더해져 게임의 난이도를 높인다.

 

이러한 공기놀이의 글로벌 열풍은 전자상거래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아마존을 비롯한 해외 쇼핑몰에서 공기 관련 검색량이 급증했으며, 미국의 대표적인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에서는 공기 구매처를 문의하는 글이 연이어 게시되고 있다. 특히 8달러대의 공기 세트가 인기를 끌고 있으며, 판매량이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영국 언론도 이 현상에 주목했다. 라디오타임스는 공기놀이가 서구권 시청자들에게는 다소 복잡한 규칙을 가진 게임으로 보일 수 있지만, 돌, 자갈, 주사위, 구슬 등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도구로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접근성을 가진다고 평가했다. 더욱 흥미로운 점은 비슷한 놀이가 전 세계적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필리핀의 '잭스톤', 카자흐스탄의 '베스 타스', 말레이시아의 '바투 세렘반' 등이 그 예다.

 

인하대 이은희 교수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공기놀이는 좁은 공간에서도 즐길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따라 할 수 있어 SNS를 통한 확산에 최적화되어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드라마에 등장한 화려한 색상의 공기들이 SNS 콘텐츠로서 시각적 매력을 가진다는 점도 강조했다.

 

호캉스·온천만 있으면 만족도 폭발...? 여행객들이 '관광'을 포기하는 이유

HCSI) 결과에 따르면, 7일 미만의 단기 여행이 7일 이상의 장기 여행보다 현저히 높은 만족도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이번 조사는 하나투어가 지난해 패키지 여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 것으로, 특히 단기 여행 중에서도 지역별 만족도는 '시코쿠 4일'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치앙마이 5일'이 2위, '오키나와 4일'이 3위를 기록하며 아시아 근거리 여행지의 인기를 입증했다. 이러한 결과는 바쁜 현대인들이 긴 휴가를 내기 어려운 상황에서 짧고 집중적인 휴식을 선호하는 경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여행 테마별 만족도 분석에서는 '지속가능한 여행'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그 뒤를 '힐링휴양', '다이닝·미식', '관광+자유', '관광' 순으로 이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모든 비행시간대에서 호캉스, 온천호텔, 충분한 자유시간 등을 포함한 '힐링휴양' 테마 상품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이는 여행객들이 패키지 여행을 통해 일상에서 벗어나 확실한 휴식과 재충전을 원한다는 심리를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된다.비행시간별 만족도를 살펴보면, '4시간~8시간'의 중거리 비행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기록했고, '4시간 미만'의 근거리와 '8시간 이상'의 장거리 비행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4시간~8시간 비행 구간에서는 4일, 5일, 6일 순으로 일정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 비행시간대에 속하는 여행지 중에서는 치앙마이, 다낭, 라오스 등 동남아시아 지역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이러한 조사 결과는 최근 여행 시장에서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는 '퀵턴(Quick Turn)' 여행 트렌드와도 일맥상통한다. 퀵턴은 짧은 기간 동안 빠르게 다녀오는 여행을 의미하는 것으로, 긴 휴가를 내기 어려운 직장인들 사이에서 주말이나 연휴를 활용한 짧은 해외여행이 인기를 끌고 있는 현상을 반영한다.하나투어 관계자는 "최근 여행객들 사이에서 근거리·단기간 여행이 확고한 트렌드로 자리잡았다"며 "퀵턴 여행의 인기와 더불어 주 4일제 시행 가능성도 논의되면서 단거리 여행 수요는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이러한 여행 트렌드 변화는 코로나19 이후 여행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짧지만 질 높은 휴식을 추구하는 여행객들의 니즈가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특히 검증된 패키지 여행 상품을 통해 효율적으로 휴식을 취하려는 현대인들의 실용적인 여행 방식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