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Culture

'오징어게임2 본 외국인들, '한국 놀이문화' 때문에 大난리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게임' 시즌2가 한국의 전통 놀이를 전 세계에 알리는 새로운 문화 현상을 만들어내고 있다. 특히 시즌1의 달고나 열풍에 이어, 이번에는 공기놀이가 글로벌 트렌드로 부상하며 'K-민속놀이'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

 

공기놀이는 시리즈의 4화 '여섯 개의 다리'에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배우 강하늘이 연기한 강대호가 선보인 공기놀이 장면은 틱톡에서만 1680만 회 이상의 조회 수를 기록했다. 이는 단순한 장면 공유를 넘어 'Gonggi game'과 'Gonggi challenge'라는 해시태그와 함께 전 세계 젊은이들 사이에서 도전 과제로 자리 잡았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수년 전 업로드된 한국 전통 놀이 소개 영상들이 역주행하며 새로운 관심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공기놀이의 매력은 단순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상당한 기술과 집중력을 요구하는 게임성에 있다. 5개의 공깃돌로 진행되는 이 게임은 총 5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마다 고유한 규칙이 적용된다. 기본적으로 한 개의 돌을 공중에 던진 후, 땅에 있는 다른 돌을 집어 올리고 던진 돌을 받아내야 한다. 여기에 공깃돌끼리 부딪치지 않아야 하고, 던지기 전 흔들기 금지 등 세부 규칙이 더해져 게임의 난이도를 높인다.

 

이러한 공기놀이의 글로벌 열풍은 전자상거래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아마존을 비롯한 해외 쇼핑몰에서 공기 관련 검색량이 급증했으며, 미국의 대표적인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에서는 공기 구매처를 문의하는 글이 연이어 게시되고 있다. 특히 8달러대의 공기 세트가 인기를 끌고 있으며, 판매량이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영국 언론도 이 현상에 주목했다. 라디오타임스는 공기놀이가 서구권 시청자들에게는 다소 복잡한 규칙을 가진 게임으로 보일 수 있지만, 돌, 자갈, 주사위, 구슬 등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도구로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접근성을 가진다고 평가했다. 더욱 흥미로운 점은 비슷한 놀이가 전 세계적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필리핀의 '잭스톤', 카자흐스탄의 '베스 타스', 말레이시아의 '바투 세렘반' 등이 그 예다.

 

인하대 이은희 교수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공기놀이는 좁은 공간에서도 즐길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따라 할 수 있어 SNS를 통한 확산에 최적화되어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드라마에 등장한 화려한 색상의 공기들이 SNS 콘텐츠로서 시각적 매력을 가진다는 점도 강조했다.

 

홀인원보다 중요한 건 식후경! 골프장 밥, 굿샷보다 더한 감동!

허기를 달래는 기능적인 식사에 그쳤던 클럽하우스 메뉴는 이제 골프 경험의 만족도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부상하며, 서울, 경기, 제주 등 전국 주요 골프장들이 앞다투어 프리미엄 F&B 전략을 도입하고 있다.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골프 인구의 다변화가 자리한다. 과거 비즈니스 목적의 중장년층 남성 중심에서 최근 젊은 세대와 가족 단위 이용객의 유입이 급증하면서, 클럽하우스 식사에 대한 기대치와 요구사항이 크게 달라진 것이다. 이들은 건강하고 신선한 재료는 물론, 시각적으로도 아름답고 특별한 미식 경험을 추구하며, 단조로운 식단을 탈피한 공유형 메뉴와 경험형 다이닝 서비스에 주목하고 있다. 단순히 배를 채우는 것을 넘어, 라운딩의 여운을 즐기고 동반자들과 소통하는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다이닝을 원하는 것이다. 제주도에 위치한 명문 골프장인 더 시에나 제주 컨트리클럽은 제주의 풍부한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차별화된 미식 경험을 골퍼들에게 선사하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지난봄에는 제주의 명물인 흑돼지로 만든 육전을 무료로 제공하는 깜짝 이벤트를 진행하여 방문객들에게 잊지 못할 추억과 만족감을 선사했다. 더 시에나 제주 컨트리클럽 관계자는 "제주의 신선한 식재료만을 엄선하여 한 상 가득 푸짐하게 담아내는 편백찜은 출시 이후 클럽하우스의 시그니처 메뉴로 확고히 자리매김했다"고 설명했다. 이 편백찜은 흑돼지 항정살, 등갈비, 오겹살, 가브리살, 뽈살 수육 등 다양한 부위의 흑돼지는 물론, 제주 제철 해산물인 전복, 랍스터, 돌문어, 새우 등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골퍼들이 라운드 후 지친 몸에 활력을 불어넣고 에너지를 충전하는 데 최적의 메뉴로 꼽힌다. 신선한 재료의 풍미와 건강까지 생각한 구성은 미식가들의 입맛까지 사로잡고 있다.수도권 대표 명문 골프장으로 손꼽히는 중부CC 역시 클럽하우스 다이닝의 품격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이곳은 기존의 정형화된 식사 메뉴에서 벗어나, 다채로운 프리미엄 단품 요리와 섬세하게 구성된 코스 메뉴를 선보이며 미식의 즐거움을 더하고 있다. 연잎 해삼 삼겹살찜, 블랜빈 소스 전가복, 한우사태 전복 냉채, 부추 등심 탕수육, 관자 크림 뇨끼 등 이름만 들어도 군침 도는 메뉴들은 단순한 식사를 넘어 하나의 예술 작품과 같은 미식 경험을 제공한다. 각 메뉴는 최고급 식재료를 사용하여 전문 셰프의 손길로 정성껏 조리되며, 플레이팅 또한 고급 레스토랑 못지않은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이는 골퍼들이 라운딩 전후로 편안하고 럭셔리한 분위기 속에서 최상의 미식을 즐길 수 있도록 배려한 결과이다.더 시에나 그룹 관계자는 "클럽하우스 식사는 이제 단순히 배를 채우는 행위를 넘어, 골프 외적인 만족도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골프장의 식음 이벤트, 계절별 특성을 살린 코스 메뉴, 그리고 와인 페어링과 같은 섬세하고 전략적인 미식 접근 방식이 앞으로 골프장 선택의 새로운 기준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처럼 골프장들은 코스 관리와 서비스 품질 경쟁을 넘어, 클럽하우스 다이닝을 통해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며 골퍼들에게 더욱 풍성하고 기억에 남는 경험을 선사하기 위해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 이제 클럽하우스는 단순한 식당이 아닌, 골프의 즐거움을 완성하는 미식의 성지로 거듭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