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Culture

중국의 숨겨진 1급 미술작품들, 전격 공개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에서 진행 중인 ‘수묵별미: 한·중 근현대회화’ 전시가 문화계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전시는 한국과 중국의 근현대 수묵채색화 148점을 소개하며, 특히 중국 국가미술관과의 공동 기획을 통해 더욱 화제를 모은다. 전시의 핵심 작품들은 중국에서 자주 공개되지 않는 ‘1급’ 작품을 포함하고 있어, 한국 관객들에게는 새로운 미술적 경험을 선사하고 있다. 전시의 하이라이트는 중국 미술계에서 중요한 작품들을 한 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전시의 대표작 중 하나인 랴오빙슝의 ‘자조’는 특히 눈에 띈다. 이 작품은 문화대혁명 시기 권력을 장악한 마오쩌둥의 측근들이 사라지고 난 후, 그 시대를 살아온 지식인의 고뇌와 자조를 표현한 작품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작품 속 남성은 항아리 모양으로 웅크리고 있으며, 그 앞에는 깨진 항아리가 놓여 있다. 작품 위에는 ‘4인방이 사라진 뒤에야 나 자신, 그리고 나와 비슷한 사람들을 비웃으려 이 글을 쓴다’는 문구가 적혀 있다. 이는 당시 정치적 억압 속에서 말을 잃고 살아온 지식인들의 상처를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에서 열린 전시에서 만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중국 근현대 수묵화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기 위해, 여러 중요한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하고 있다. 그중에서 주목할 만한 작품들을 배원정 학예연구사가 추천했다.

 

첫 번째로, 우창숴의 ‘구슬 빛’이 있다. 우창숴는 20세기 중국 화단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친 작가로, 이 작품에서는 등나무 줄기가 어지럽게 얽힌 모습을 리드미컬한 선과 화면 구성으로 생동감 있게 표현했다. 배 학예사는 이 작품이 이응노의 ‘생맥’ 같은 추상화적 성격을 지닌 수묵화 고유의 전개 과정을 보여주는 작품이라 설명했다.

 

두 번째로, 쉬베이훙의 ‘전마’는 수묵화와 서양화의 기법이 결합된 작품으로, 전투마가 갑자기 옆을 바라보는 순간을 포착하고 있다. 서양 회화의 해부학적 원리와 원근법이 중국 수묵화의 선 그리기와 번짐 기법과 결합되어, 현대인에게도 낯설지 않게 다가오는 작품이다.

 

세 번째로, 장다첸의 ‘시구를 찾는 그림’이 있다. 장다첸은 연꽃 그림으로 유명하며, 이 작품은 소나무와 오동나무, 사람 등을 그린 초기 작품이다. 배 학예사는 이 작품을 통해 장다첸이 자신의 화법을 다듬어 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네 번째로, 판제쯔의 ‘석굴 예술의 창조자’가 있다. 이 작품은 중국 대학생들이 채색화 공부에 필수적으로 참고하는 작품으로, 돈황 석굴 벽화의 영향을 받은 작품이다. 중국의 채색화 전통을 계승하려는 작가의 의지가 엿보인다.

 

마지막으로, 첸쑹옌의 ‘금수강남 풍요로운 땅’은 중국 사회주의 국가 건설을 뒷받침하는 작품으로, 경작이 이루어지고 전기가 들어오며 풍요로워지는 중국의 모습을 그렸다. 이 작품은 문화대혁명 이후 한량 취급을 받던 중국의 수묵화가들에게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는 의미를 지닌다.

 

 

배 학예사는 이번 전시가 중국의 현대 미술을 한국에서 감상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임을 강조했다. 특히 국가 지정 ‘문물급’ 작품들이 포함된 이번 전시는 한국과 중국 미술의 독창성과 개성을 비교하며 관람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다. 전시가 끝난 후, 이 작품들은 중국으로 돌아가게 되며, 관람을 원하는 관객들은 2월 16일까지 전시를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수묵별미’ 전시는 한국화와 중국 수묵화를 비교하며, 각 나라가 어떻게 독자적인 예술적 흐름을 만들어왔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떤 미술적 기법들이 발전해왔는지에 대해 깊이 있는 시각을 제공한다.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은 단순히 두 나라의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것 이상의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7말8초' 대한민국 대이동 예고... 강원도·제주도·부산 TOP3 차지

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여름 국내 여행을 떠난다는 응답이 52.7%로 작년보다 17%포인트나 증가했다.반면,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응답자는 25.9%로 전년 대비 5.2%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국내여행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특히 국내 여행지 중에서는 강원도가 18.1%로 1위를 차지했지만, 작년보다는 7.8%포인트 감소한 수치를 보였다. 제주도가 17.3%로 2위, 부산이 12.2%로 3위를 차지하며 인기 여행지로 자리매김했다.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 중에서는 동남아를 선택한 비율이 30.8%로 가장 높았고, 일본이 30.4%로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했다. 유럽을 선택한 응답자도 14.6%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다.휴가 시기는 7월 마지막 주(29.1%)와 8월 첫째 주(22.5%)에 집중되어, 이른바 '7말8초'에 과반수의 사람들이 휴가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는 전통적으로 한국의 여름 휴가 성수기로, 많은 직장인들이 집중적으로 휴가를 사용하는 기간이다.예상 지출 비용을 살펴보면, 국내여행의 경우 1인당 '50만원에서 100만원' 사이를 예상한 응답자가 36.8%로 가장 많았다. 해외여행은 '100만원에서 200만원' 사이라고 답한 비율이 27.7%로 가장 높았다. 이는 해외여행이 국내여행보다 평균적으로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됨을 보여준다.여름 휴가지를 선정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관광지와 놀거리'(54.8%), '음식'(48.8%), '비용'(41.7%)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용 측면은 여행 계획 수립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한편, 올해 여름휴가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들도 30.9%에 달했다. 이들이 휴가를 계획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경제적 부담'(42.3%)이 가장 많았고, '성수기라 사람이 많을 것 같아서'(29.4%), '휴가를 가야 할 이유를 크게 못 느껴서'(22.9%) 순으로 응답했다. 이는 경제적 상황이 여행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휴가를 가지 않기로 한 응답자들은 아낀 휴가 비용을 생활비(37.4%), 적금·저축(15.3%), 주식 투자(6.8%) 등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여행 대신 재정적 안정을 위한 선택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이번 조사 결과는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여행 트렌드와 경제적 상황이 여름휴가 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볼 수 있다. 특히 국내여행 선호도가 크게 증가한 점은 국내 관광 산업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