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Culture

중국의 숨겨진 1급 미술작품들, 전격 공개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에서 진행 중인 ‘수묵별미: 한·중 근현대회화’ 전시가 문화계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전시는 한국과 중국의 근현대 수묵채색화 148점을 소개하며, 특히 중국 국가미술관과의 공동 기획을 통해 더욱 화제를 모은다. 전시의 핵심 작품들은 중국에서 자주 공개되지 않는 ‘1급’ 작품을 포함하고 있어, 한국 관객들에게는 새로운 미술적 경험을 선사하고 있다. 전시의 하이라이트는 중국 미술계에서 중요한 작품들을 한 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전시의 대표작 중 하나인 랴오빙슝의 ‘자조’는 특히 눈에 띈다. 이 작품은 문화대혁명 시기 권력을 장악한 마오쩌둥의 측근들이 사라지고 난 후, 그 시대를 살아온 지식인의 고뇌와 자조를 표현한 작품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작품 속 남성은 항아리 모양으로 웅크리고 있으며, 그 앞에는 깨진 항아리가 놓여 있다. 작품 위에는 ‘4인방이 사라진 뒤에야 나 자신, 그리고 나와 비슷한 사람들을 비웃으려 이 글을 쓴다’는 문구가 적혀 있다. 이는 당시 정치적 억압 속에서 말을 잃고 살아온 지식인들의 상처를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에서 열린 전시에서 만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중국 근현대 수묵화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기 위해, 여러 중요한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하고 있다. 그중에서 주목할 만한 작품들을 배원정 학예연구사가 추천했다.

 

첫 번째로, 우창숴의 ‘구슬 빛’이 있다. 우창숴는 20세기 중국 화단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친 작가로, 이 작품에서는 등나무 줄기가 어지럽게 얽힌 모습을 리드미컬한 선과 화면 구성으로 생동감 있게 표현했다. 배 학예사는 이 작품이 이응노의 ‘생맥’ 같은 추상화적 성격을 지닌 수묵화 고유의 전개 과정을 보여주는 작품이라 설명했다.

 

두 번째로, 쉬베이훙의 ‘전마’는 수묵화와 서양화의 기법이 결합된 작품으로, 전투마가 갑자기 옆을 바라보는 순간을 포착하고 있다. 서양 회화의 해부학적 원리와 원근법이 중국 수묵화의 선 그리기와 번짐 기법과 결합되어, 현대인에게도 낯설지 않게 다가오는 작품이다.

 

세 번째로, 장다첸의 ‘시구를 찾는 그림’이 있다. 장다첸은 연꽃 그림으로 유명하며, 이 작품은 소나무와 오동나무, 사람 등을 그린 초기 작품이다. 배 학예사는 이 작품을 통해 장다첸이 자신의 화법을 다듬어 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네 번째로, 판제쯔의 ‘석굴 예술의 창조자’가 있다. 이 작품은 중국 대학생들이 채색화 공부에 필수적으로 참고하는 작품으로, 돈황 석굴 벽화의 영향을 받은 작품이다. 중국의 채색화 전통을 계승하려는 작가의 의지가 엿보인다.

 

마지막으로, 첸쑹옌의 ‘금수강남 풍요로운 땅’은 중국 사회주의 국가 건설을 뒷받침하는 작품으로, 경작이 이루어지고 전기가 들어오며 풍요로워지는 중국의 모습을 그렸다. 이 작품은 문화대혁명 이후 한량 취급을 받던 중국의 수묵화가들에게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는 의미를 지닌다.

 

 

배 학예사는 이번 전시가 중국의 현대 미술을 한국에서 감상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임을 강조했다. 특히 국가 지정 ‘문물급’ 작품들이 포함된 이번 전시는 한국과 중국 미술의 독창성과 개성을 비교하며 관람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다. 전시가 끝난 후, 이 작품들은 중국으로 돌아가게 되며, 관람을 원하는 관객들은 2월 16일까지 전시를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수묵별미’ 전시는 한국화와 중국 수묵화를 비교하며, 각 나라가 어떻게 독자적인 예술적 흐름을 만들어왔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떤 미술적 기법들이 발전해왔는지에 대해 깊이 있는 시각을 제공한다.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은 단순히 두 나라의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것 이상의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호텔 예약 불가능? 올여름 숙박시설이 '만실'된 놀라운 현상의 배후

웃도는 무더위가 계속되면서 냉방 시설이 완비된 쇼핑 공간이 '도심 속 피서지'로 각광받고 있다.호텔업계에 따르면 예년보다 일찍 찾아온 폭염 영향으로 주요 휴가지 숙박 시설의 예약률이 급증하고 있다. 롯데리조트 속초는 여름 성수기인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 객실이 거의 만실 상태에 이르렀으며, 부산 L7해운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예약률이 16% 포인트 높아졌다.특히 호텔 내에서 모든 식사와 활동을 해결할 수 있는 '올인클루시브' 패키지 상품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롯데호텔 제주의 올인클루시브 패키지는 7월 판매량이 전월 대비 두 배로 증가했다. 이 패키지는 2박 전용 상품으로 조식과 석식은 물론, 수영장 풀카페에서 치킨, 자장면, 피자 등의 메뉴를 즐길 수 있는 혜택이 포함되어 있다.호텔신라도 제주와 부산 지역 호텔에서 수영장 식음매장의 짬뽕, 칵테일 등이 포함된 패키지 상품이 호응을 얻고 있다. 서울신라호텔의 경우 투숙 기간 무제한 야외 수영장 이용과 30만원 상당의 호텔 내 식음료 혜택이 제공되는 3연박 패키지가 목표치를 50% 초과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조선호텔앤리조트의 부산 지역 호텔들도 7월 26일부터 8월 3일까지 예약률이 작년 동기간 투숙률보다 5% 높아졌다. 이랜드파크가 운영하는 강원, 제주 소재 켄싱턴호텔과 리조트는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 만실이 예상되며, 강원도의 설악밸리와 설악비치는 이미 객실이 모두 채워졌고, 제주권과 경상권도 예약률이 90%를 넘어섰다.도심 속 백화점과 대형마트도 폭염 특수를 누리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7월 1일부터 13일까지 매출과 방문객이 각각 15%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현대백화점과 신세계백화점의 매출도 각각 13.7%, 13.5% 늘었다. 특히 7월 11일과 12일 한낮 기온이 36도까지 오르자 에어컨이 가동되는 백화점으로 소비자들이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여름 정기세일 또한 쇼핑객 증가에 한몫했다. 백화점 3사는 6월 27일부터 7월 13일까지 수백 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최대 50% 할인 행사를 진행했으며, 이른 무더위와 여름 휴가철 쇼핑 수요가 맞물려 매출 상승으로 이어졌다.대형마트도 비슷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롯데마트는 7월 초반 13일간 매출과 방문객이 전년 동기 대비 5%씩 증가했고, 이마트의 창고형 할인매장 트레이더스는 방문객이 15%나 급증했다.폭염으로 인해 냉방 관련 상품 수요도 크게 늘었다. 롯데하이마트의 에어컨과 선풍기 매출은 7월 초반 13일간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50%, 80%가량 증가했으며, 다이소의 휴대용 선풍기 매출은 두 배 이상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