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Culture

한·중 예술 배틀, '수묵별미' 수묵화 전쟁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에서 열리는 ‘수묵별미: 한·중 근현대회화’ 전시가 막바지에 접어들며 관람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이번 전시는 한국과 중국 수교 30주년을 기념하여 양국의 대표적인 근현대 수묵채색화 작품을 통해 120여 년에 걸친 수묵화의 변천사를 조망한다.

 

전시에는 한국의 안중식, 이상범, 변관식, 이응노, 천경자, 황창배, 박대성 등 69명의 작품 74점이 출품되었으며, 중국에서는 우창숴, 푸파오스, 쉬베이훙, 치바이스 등 76명의 작품 74점이 전시된다. 전시는 양국의 근현대 수묵화 역사를 전통 계승과 현대적 변신이라는 주제로 4부로 나누어 구성되었으며, 한국은 1980년대, 중국은 1990년대 개혁개방 시기를 중요한 전환점으로 설정했다.

 

특히 수묵화 애호가들의 관심은 19세기 말~20세기 초반 중국 수묵화의 혁신을 이끈 거장들의 작품에 쏠린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우창숴의 ‘구슬’(1920), 쉬베이훙의 ‘전마’(1942), 치바이스의 ‘연꽃과 원앙’(1955) 등 중국 국가문물국이 규정한 1~3급 문물 32점을 전시하며 그 가치를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기대보다 작은 작품 크기와 소량의 출품작으로 인해 중국 수묵화 특유의 대형 스케일을 기대한 관람객들에게는 다소 아쉬움을 남길 수도 있다.

 

 

반면 한국 수묵화 작품들은 상대적으로 큰 스케일로 주목받고 있다. 쉬베이훙의 ‘전마’(1942)가 김기창의 ‘군마’(1955)보다 작은 규모를 보이면서, 한국 작가들의 대형 작품들이 더욱 돋보이는 효과를 가져왔다. 최석환의 ‘묵포도도’(19세기)와 같은 대형 병풍 작품들이 이러한 분위기를 더욱 배가시킨다.

 

문화대혁명(1966~1976)이 중국 회화사에 미친 영향도 이번 전시에서 상대적으로 덜 다뤄져 아쉬움을 남긴다. 다만, 랴오빙슝의 ‘자조’(1979)가 문화대혁명의 영향을 암시하는 작품으로 전시되었다. 또한, 리커란은 전통적인 문인화에서 벗어나 사실주의와 판화 기법을 결합한 독특한 스타일을 구축했으나, 이번 전시에서는 그의 대표적 대작을 충분히 감상하기 어려운 점이 지적된다.

 

한편, 전시는 단순히 개별 작가의 걸작을 감상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한국과 중국 수묵화의 전반적인 경향을 비교하며 시대적 흐름을 조망하는 데 의의를 둔다. 한국에서는 1960년대 이후 서양화의 영향을 받아 앵포르멜, 기하학적 추상, 모노크롬 회화 등 다양한 현대적 실험이 수묵화에도 적용되었으며, 특히 1980년대 이후 더욱 자유롭고 혁신적인 시도가 이루어졌다. 이에 비해 중국은 여전히 사회주의 리얼리즘 기조를 유지하면서 보다 전통적인 수묵화의 틀을 고수한 모습을 보인다.

 

미술계 관계자는 “이번 전시는 단순히 개별 작품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한국과 중국 근현대 수묵화의 흐름을 총체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라며, “다음 전시에서 더 깊이 있는 연구와 다양한 작품들이 소개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수묵별미: 한·중 근현대회화’ 전시는 오는 16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 열린다.

 

 

 

10일간 '로즈 판타지' 곡성장미축제 5월 16일 개막

구성해 관광객들에게 잊지 못할 봄날의 추억을 선사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올해 축제는 '장미로 물드는 하루, 올데이 로즈(All Day Rose)'를 주제로 정하고, 낮뿐만 아니라 밤에도 장미를 즐길 수 있도록 야간 프로그램을 대폭 강화했다. 기존에 오후 5시에 진행되던 개막 행사는 오후 7시로 조정되며, 이른 저녁부터 밤까지 이어지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관광객의 체류 시간을 늘리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겠다는 취지다.  장미공원에서는 낮 동안 관람객들이 장미의 향연을 즐기며 자유롭게 버스킹을 감상할 수 있는 '올데이 버스킹'과 더불어, 축제 분위기를 고조시킬 '로즈 OST 뮤직캠프', 가족 단위 관람객들을 위한 '로즈 시네마' 등 다채로운 체험형 문화 프로그램이 준비된다.   이번 축제에서는 지난해 한국관광공사의 공모를 통해 제작된 축제 공식 캐릭터 '로지 프렌즈'가 팝업스토어 형태로 처음 공개된다. 축제의 상징적 존재로 자리매김할 '로지 프렌즈'는 관람객과의 친근한 소통을 이끌어내는 한편, 어린이 및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 색다른 재미를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 주민들과의 협업을 통해 꾸려지는 ‘올데이 로즈 퍼레이드’와 ‘로즈 패션쇼’는 주민 200여 명이 직접 참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주민이 주도하고 관광객이 함께 즐기는 형태의 퍼포먼스를 통해 축제가 단순한 볼거리를 넘어 지역사회와의 교감으로 확장되는 모습을 보여줄 전망이다.  여기에 곡성군 지역 예술인들과 예술단체 45개 팀이 무대에 오르며, 공연 프로그램에도 다양성과 완성도를 더할 계획이다. 지역 청소년으로 구성된 군립청소년오케스트라와 곡성 출신 가수들의 무대도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은 지역색을 더한 특별 공연으로 축제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킬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곡성군 관계자는 “곡성세계장미축제는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예비 문화관광축제로 지정된 곡성의 대표 축제”라며 “올해는 단순히 관람하는 데 그치지 않고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방식으로 전환해 진정한 참여형 축제로 거듭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2004년 처음 시작된 곡성세계장미축제는 매년 5월 중순, 곡성 섬진강기차마을 내 장미공원에서 개최된다. 장미공원에는 세계 각국의 장미 1,004종이 조성되어 있어 관람객들에게 시각과 후각의 환상적인 경험을 선사한다. 해마다 수십만 명의 관광객이 찾는 이 축제는 지역 대표 문화관광 자원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지역 농특산물 홍보 및 판매, 청년 창업가 플리마켓 등도 연계되어 지역경제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올해 역시 곡성군은 관람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셔틀버스 운행, 주차장 확대, 포토존 및 휴게 공간 마련 등 다양한 편의 시설도 마련할 예정이다. 관광객들은 장미의 아름다움을 감상하는 것에서 나아가 곡성이라는 지역이 지닌 문화와 사람, 그리고 향기를 온전히 느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