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Culture

4년 만의 귀환, 비비아나킴 'SWAN'.."초현실적 퍼포먼스 선봬"

플루티스트 비비아나킴이 4년 만에 신작 ‘SWAN’으로 돌아왔다. 이번 앨범은 단순한 클래식 음악 연주에 그치지 않고, 전통과 혁신을 결합한 복합적인 예술 작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SWAN은 차이콥스키의 *백조의 호수*를 기반으로 하지만, 그 이상의 감각적 경험을 선사하는 작품이다. 클래식 음악의 경계를 허물며, 플루트 연주, 퍼포먼스, 그리고 AI 기술이 결합된 다차원적인 예술로 탄생한 SWAN은 관객에게 새로운 형태의 음악적 경험을 제공한다.

 

비비아나킴은 음악을 단순한 청각적 경험으로 보지 않고, 그 이상의 총체적인 예술로 바라본다. 그녀의 철학은 클래식 음악의 전통적인 형식에 도전하며, 보다 직관적이고 감각적인 방식으로 관객과 소통하는 것이다. SWAN에서도 그녀의 예술적 정체성은 뚜렷하게 드러난다. 백조의 서사를 표현하는 과정에서, 비비아나킴은 연주와 함께 몸을 움직이며 음악적 흐름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한다. 플루트의 선율은 유려하고 섬세하게 시작되어 점차 강렬한 리듬과 격정적인 멜로디로 변한다. 그녀의 움직임은 단순한 안무가 아닌, 음악적 감정을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또 다른 언어가 된다. 비비아나킴의 예술은 음악, 움직임, 감정을 결합해 관객이 느낄 수 있는 깊은 감동을 전달한다.

 

 

 

또한, SWAN은 음악뿐만 아니라 비주얼 아트에서도 혁신을 꾀했다. 장제희 감독이 연출한 이번 프로젝트는 AI 기술팀 ‘TEAM ZERO’와 협업하여, 최첨단 3D 그래픽을 활용한 뮤직비디오를 제작했다. AI는 비비아나킴의 실제 퍼포먼스를 분석하고, 그녀의 동작을 바탕으로 백조의 움직임을 더욱 정교하게 재현했다. 이로 인해 현실과 가상이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공연이 탄생하며, 클래식 음악의 무대가 어디까지 확장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전례 없는 시도가 되었다.

 

AI 기술은 단순히 배경을 장식하는 요소에 그치지 않고, 비비아나킴의 예술적 표현을 한층 더 강화하는 방식으로 활용되었다. AI 그래픽은 그녀의 연주에서 영감을 얻어,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허물며 관객에게 더욱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 이는 음악, 퍼포먼스, 시각적 요소가 융합된 총체적 예술로, 관객들에게 전통적인 클래식 음악의 틀을 넘어서는 새로운 경험을 안겨준다.

 

SWAN에서 백조는 전통적인 상징과는 다른 존재로 그려진다. 전통적으로 백조는 희생과 운명을 받아들이는 존재로 묘사되지만, 이번 작품에서는 흑조와 적조로 변하며 스스로 운명을 개척하는 강인한 존재로 거듭난다. 이러한 서사적 변주는 비비아나킴의 음악적 해석에서도 그대로 반영된다. 초반부의 맑고 투명한 플루트 소리는 점차 격정적인 리듬과 역동적인 멜로디로 변화하며, 백조의 자유를 향한 투쟁과 해방을 형상화한다. 비비아나킴은 연주를 통해 단순히 감상을 위한 음악을 넘어서, 관객에게 감정을 직관적으로 전달하고 이야기를 느끼게 만드는 도구로 음악을 사용한다.

 

비비아나킴은 이번 SWAN을 통해 클래식 음악이 단순한 연주에서 벗어나, 퍼포먼스와 비주얼 아트를 결합한 다차원적인 예술로 진화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그녀의 시도는 클래식 음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젖히며, 연주자의 역할이 어디까지 확장될 수 있는지를 고민하게 만든다. SWAN은 단순한 음악 앨범을 넘어, 음악, 시각 예술, 기술이 결합된 종합 예술 작품으로, 클래식 음악의 새로운 장을 여는 중요한 시도로 평가받고 있다.

 

비비아나킴은 그녀의 예술적 실험을 통해, 클래식 음악의 틀을 깨고 현대적인 방식으로 감각적인 예술을 만들어낸다. SWAN은 단순한 연주 앨범을 넘어, 음악과 퍼포먼스, 그리고 혁신적인 기술이 결합된 예술 작품으로, 관객들에게 새로운 감동을 선사하며, 앞으로의 예술적 가능성을 더욱 확장해 나갈 것이다.

 

10일간 '로즈 판타지' 곡성장미축제 5월 16일 개막

구성해 관광객들에게 잊지 못할 봄날의 추억을 선사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올해 축제는 '장미로 물드는 하루, 올데이 로즈(All Day Rose)'를 주제로 정하고, 낮뿐만 아니라 밤에도 장미를 즐길 수 있도록 야간 프로그램을 대폭 강화했다. 기존에 오후 5시에 진행되던 개막 행사는 오후 7시로 조정되며, 이른 저녁부터 밤까지 이어지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관광객의 체류 시간을 늘리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겠다는 취지다.  장미공원에서는 낮 동안 관람객들이 장미의 향연을 즐기며 자유롭게 버스킹을 감상할 수 있는 '올데이 버스킹'과 더불어, 축제 분위기를 고조시킬 '로즈 OST 뮤직캠프', 가족 단위 관람객들을 위한 '로즈 시네마' 등 다채로운 체험형 문화 프로그램이 준비된다.   이번 축제에서는 지난해 한국관광공사의 공모를 통해 제작된 축제 공식 캐릭터 '로지 프렌즈'가 팝업스토어 형태로 처음 공개된다. 축제의 상징적 존재로 자리매김할 '로지 프렌즈'는 관람객과의 친근한 소통을 이끌어내는 한편, 어린이 및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 색다른 재미를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 주민들과의 협업을 통해 꾸려지는 ‘올데이 로즈 퍼레이드’와 ‘로즈 패션쇼’는 주민 200여 명이 직접 참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주민이 주도하고 관광객이 함께 즐기는 형태의 퍼포먼스를 통해 축제가 단순한 볼거리를 넘어 지역사회와의 교감으로 확장되는 모습을 보여줄 전망이다.  여기에 곡성군 지역 예술인들과 예술단체 45개 팀이 무대에 오르며, 공연 프로그램에도 다양성과 완성도를 더할 계획이다. 지역 청소년으로 구성된 군립청소년오케스트라와 곡성 출신 가수들의 무대도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은 지역색을 더한 특별 공연으로 축제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킬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곡성군 관계자는 “곡성세계장미축제는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예비 문화관광축제로 지정된 곡성의 대표 축제”라며 “올해는 단순히 관람하는 데 그치지 않고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방식으로 전환해 진정한 참여형 축제로 거듭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2004년 처음 시작된 곡성세계장미축제는 매년 5월 중순, 곡성 섬진강기차마을 내 장미공원에서 개최된다. 장미공원에는 세계 각국의 장미 1,004종이 조성되어 있어 관람객들에게 시각과 후각의 환상적인 경험을 선사한다. 해마다 수십만 명의 관광객이 찾는 이 축제는 지역 대표 문화관광 자원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지역 농특산물 홍보 및 판매, 청년 창업가 플리마켓 등도 연계되어 지역경제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올해 역시 곡성군은 관람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셔틀버스 운행, 주차장 확대, 포토존 및 휴게 공간 마련 등 다양한 편의 시설도 마련할 예정이다. 관광객들은 장미의 아름다움을 감상하는 것에서 나아가 곡성이라는 지역이 지닌 문화와 사람, 그리고 향기를 온전히 느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