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Culture

달항아리, 뉴욕 홀렸다! 41억 '잭팟' 터진 조선의 美친 존재감

 조선시대 백자 달항아리가 미국 뉴욕 크리스티 경매에서 41억 원이라는 높은 가격에 낙찰되며 한국 도자기의 아름다움과 예술적 가치를 다시 한번 전 세계에 알렸다. 이는 단순한 미술품 경매를 넘어, 한국 문화유산의 위상을 드높이는 쾌거로 평가받고 있다.

 

18일(현지시간) 크리스티 뉴욕에서 개최된 한국·일본 미술품 경매는 전 세계 미술 애호가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특히, 높이 45cm의 18세기 백자 대호(大壺)는 등장과 함께 뜨거운 관심을 받으며 치열한 경합을 불러일으켰다. 최종 낙찰가는 283만 3000달러(한화 약 41억 2500만 원, 구매자 수수료 포함)로, 크리스티의 예상 낙찰가였던 18만250만 달러(한화 약 25억 8000만35억 8000만 원)를 훌쩍 뛰어넘는 금액이었다. 이는 달항아리가 지닌 예술적, 역사적 가치에 대한 국제적인 인정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이다.

 

보름달을 닮은 둥글고 원만한 형태에서 이름을 따온 달항아리는, 단순하면서도 세련된 아름다움으로 한국 미술을 대표하는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했다. 크리스티는 이번에 낙찰된 달항아리에 대해 "높이와 폭이 거의 같은 이상적인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맑고 투명하면서도 깊이감이 느껴지는 뛰어난 발색의 유약이 눈에 띄는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더불어 "18세기에 제작된 달항아리 중에서도 이처럼 완벽한 형태와 아름다운 유약을 지닌 작품은 드물어 소장 가치가 매우 높다"라고 덧붙이며 그 희소성을 강조했다.

 


이번 경매에는 달항아리 외에도 총 28점의 수준 높은 한국 미술품이 출품되어 열띤 경합을 벌였다. 특히, 15~16세기 조선시대에 제작된 백자청화매죽문소호는 섬세한 그림과 맑은 청화색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30만 2400달러(한화 약 4억 4000만 원, 구매자 수수료 포함)에 낙찰되며 한국 도자기의 우수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이번 경매에서 한국 작품의 낙찰 총액은 약 440만 달러(한화 약 64억 원)에 달하며, 한국 미술품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과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달항아리는 세계적인 경매 시장에서 꾸준히 높은 가치를 인정받으며, 경매에 등장할 때마다 미술계의 뜨거운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2023년 3월 크리스티 뉴욕 경매에서는 18세기 조선시대 백자 달항아리가 예상 낙찰가(약 12억~25억 원)를 훨씬 웃도는 약 60억 원에 낙찰되며, 달항아리 경매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이는 달항아리가 단순한 도자기를 넘어,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담은 예술 작품으로서 그 가치를 확고히 인정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번 크리스티 뉴욕 경매에서의 41억 원 낙찰은 조선시대 백자 달항아리의 아름다움과 예술적 가치가 다시 한번 세계적으로 공인받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의 미를 대표하는 달항아리가 앞으로 또 어떤 놀라운 기록을 써 내려가며 세계 미술 시장에 한국 문화의 위상을 드높일지, 그 행보에 귀추가 주목된다.

 

24시간도 모자란다는 '이곳', '24시 여행지'로 폭발 중

6년 대비 93.5% 수준의 회복률이다. 하지만 부산의 경우 이러한 추세를 뛰어넘는 성과를 거두며 외래 관광 시장의 새로운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다. 지난해 부산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수는 약 292만 9000명으로, 이는 코로나 직전인 2019년 268만 8000명을 넘어서는 108.9%의 초과 회복률이다.특히 주목할 점은 부산을 방문한 외국인 중 대만인이 50만 명으로 가장 많았고, 일본 관광객 45만 6000명을 제치며 1위를 차지했다는 사실이다. 부산의 관광 인기는 올해도 지속되고 있으며, 2024년 5월까지 약 138만 명의 외국인 관광객이 부산을 방문해 연말까지 330만~35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이 같은 부산의 관광 인기 요인 중 하나는 야간 관광 콘텐츠의 활성화다. ‘24시간 부산’이라는 이미지가 확산되며 세계적인 여행 정보 사이트 ‘트립어드바이저’의 여행 만족도 분석에서 부산은 동북아 8개 도시 중 도쿄와 상하이를 제치고 2위를 차지했다. CNN과 뉴욕타임스가 선정한 ‘아름다운 해변 도시 5곳’에도 이름을 올리는 등 글로벌 주목도 또한 상승세다.부산 방문 외국인 관광객의 패턴도 과거와는 달라지고 있다. 이전에는 BIFF광장, 해운대 등 정형화된 명소 위주로 움직였다면, 최근에는 현지인들의 일상을 체험할 수 있는 콘텐츠가 인기를 끌고 있다. SNS와 블로그를 통해 소개된 ‘민락수변공원 야간 산책’, ‘송도해상케이블카 야간 탑승’, ‘바 크롤’, ‘사직야구장 야간 경기 관람’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사직야구장의 KBO 경기 관람은 색다른 문화 체험으로 자리 잡았다. 광안리 일대의 야간 콘텐츠 활성화도 눈에 띈다. ‘M드론라이트쇼’의 상설 운영 이후 광안대교 일대의 상권이 살아나면서, 해운대 중심이던 야간관광의 축이 광안리로 이동하고 있다. ‘별바다부산 원도심 나이트 미션투어’는 참여자 만족도 4.94/5점을 기록하며 화제를 모았고, 다대포해수욕장의 ‘나이트 뮤직 캠크닉 앤 트래블쇼’, 화명생태공원의 ‘나이트 마켓’ 등은 로컬 명소를 야간 관광지로 탈바꿈시키는 데 성공했다.부산은 서면, 해운대, 광안리, 남포동뿐 아니라 다대포, 화명동, 사직동 등 도시 전역에서 야간 관광이 가능한 ‘다중 거점형 야간관광 도시’로서의 강점을 지닌다. 이와 함께 안전한 심야 대중교통망과 외국인 맞춤형 서비스인 ‘비짓부산패스’, ‘위챗페이’ 연동 등 관광 편의성도 크게 개선됐다.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부산시는 2025년 ‘별바다부산 나이트 페스타’를 전역 축제로 확대해 개최할 계획이다. 7월부터 4개월간 이어지는 이번 축제에서는 기존 콘텐츠를 한층 강화해 글로벌 야간관광 도시로서의 정체성을 더욱 공고히 할 방침이다.올해 여름 휴가철에도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부산 원도심의 로컬 감성을 바탕으로 하는 ‘나이트 미션투어’와 ‘근현대역사관 키즈투어’, 국립부산과학관과의 협업 프로그램인 ‘사이언스 앤 매직 키즈밤놀이터’ 및 ‘가족과학캠프’ 등이다. ‘리버 디너 크루즈’는 대표 야간 콘텐츠로 자리 잡으며 가족 단위 여행객은 물론 외국인 개별 관광객들에게도 큰 호응을 얻고 있다.부산은 단순한 휴양지를 넘어, 밤에도 살아있는 입체적인 관광 도시로 진화하고 있다. 야간이라는 시간을 새로운 기회로 전환한 전략은 국내외 관광객의 발길을 끌어당기며 ‘부산 관광’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