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Culture

보따리장수에서 SNS 창업까지... 70년 '여사장' 혁명의 비밀

 오늘날 동네 상가를 둘러보면 분식집, 미용실, 네일숍, 애견숍, 수선집, 문구점 등 대부분의 작은 점포는 여성 사장님들이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우연이 아닌 한국 경제사의 특수한 맥락에서 비롯된 것이다.

 

김미선의 책 『여사장의 탄생』에 따르면, 여성 자영업자는 1950년대 한국전쟁 이후 생계가 막막했던 시기에 본격적으로 등장했다. 저자는 이들을 '한국전쟁이 낳은 여사장'이라 정의했다. 당시 여성들이 일할 수 있는 노동시장이 제한적이었고, 방 딸린 점포에서 자녀 양육과 가사를 병행할 수 있었기에 자영업은 여성들의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1960-70년대에는 점포뿐 아니라 보따리를 이고 지고 가가호호 방문해 상품을 판매하는 여성 상인들도 많았다. '신앙촌 아줌마'라 불리던 옷 장사 아주머니들은 태산 같은 옷 보따리를 이고 다니며 가정에 방문해 판매했다. 이들 중 상당수는 남편과 사별하고 홀로 자녀를 키우는 여성 가장이었다. 시장에서도 야채, 고기, 생선, 건어물, 젓갈 등 대부분의 상점은 여성들이 운영했다.

 

한국경제사학자 이종현은 자영업이 "한국 경제의 성장사 전반에서 실패의 비용을 흡수한 거대한 저수지의 역할"과 "잉여 노동력을 흡수해 실업을 방어하는 역할"을 했으며, "국가 주도의 시기에 제도권 밖에 방치된 시장에서 이들은 국가 경제의 모세혈관 기능"을 해냈다고 평가했다. 1980년대 급속한 산업화로 여성들이 임금노동자로 대거 포섭되기 전까지, 여성의 자영업 비율은 임금노동보다 더 높았다.

 


그러나 이러한 경제적 기여에도 불구하고, 사회는 '여사장'들에게 '여성답지 않다'며 배제와 차별로 대했다. 50-60년대 신문이나 영화에서 '여사장'은 돈만 밝히는 탐욕스럽고 드센 문제적 여성으로 재현되었고, 심지어 성적으로 타락한 여성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이는 경제적 능력을 가진 여성을 남성을 위협하는 존재로 여긴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의 발현이었다.

 

70년이 지난 지금, '여사장'의 현재는 어떨까? 여전히 대부분은 영세한 1인 사업자로 생계를 유지하는 수준이다. 그러나 주목할 만한 변화는 "사장이 '되고픈' 요즘 청년 여성"들의 등장이다. 책방, 소품 숍, 미용 관련 숍, 카페 등에서 젊은 여성 사장님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이들 젊은 여성들이 '여사장'을 꿈꾸는 이유는 무엇일까? 저자는 이를 구조적으로 해석한다. 젊은 여성들은 "자신의 삶과 일상, 미래, 가족 등이 자본, 권력, 국가와 같은 외부의 힘에 의해 좌우되거나 통제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가 강하며", 페미니즘, 환경, 생태, 돌봄 등 대안적 삶의 방식과 가치를 실현하고자 자영업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선택의 배경에는 양극화와 젠더 불평등이 만든 노동 시장 내 차별이 있다. 남성 중심의 기울어진 노동판에서 착취당하며 돈을 버느니, "자신의 취미와 취향, 나아가 삶의 방식을 일에 반영"하는 '여사장'의 길을 택하는 것이다.

 

젊은 여성들의 이러한 대안 추구가 노동 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그리고 위기의 한국 경제에 새로운 활력이 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그러나 비가시화되었던 여성 자영업자들의 경제적 기여가 재평가받고, 청년 여성들에 의해 새로운 경제 주체로 발전할 가능성은 분명 기대할 만하다.

 

새우는 죄가 없다! 내 입맛을 훔친 홍성 남당항 대하 제대로 터진다

은 30주년을 맞이하는 이번 축제는 남당항축제추진위원회의 주관 아래, 방문객들에게 신선한 대하의 맛과 다채로운 즐거움을 선사할 예정이다.남당항은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자연산 대하의 중심지이며, 전국 생산량의 상당 부분을 책임지는 최대 산지로 그 위상을 자랑한다. 서해의 깨끗한 환경에서 자라 살이 통통하게 오르고 뛰어난 단맛을 자랑하는 남당항 대하는 이 시기에 최상의 맛을 선사한다. 축제장을 찾은 방문객들은 갓 잡은 싱싱한 대하를 현장에서 바로 맛볼 수 있으며, 축제추진위원회는 고객 만족을 위해 대하 1kg 포장 판매 가격을 3만8000원, 식당 내 가격은 5만5000원으로 일원화하여 운영한다. 이는 방문객들이 투명하고 합리적인 가격으로 고품질의 대하를 믿고 즐길 수 있도록 한 배려 깊은 조치이다. 제30회 홍성남당항 대하축제는 미식의 즐거움과 더불어,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풍성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마련했다. 축제의 흥을 돋울 연예인 축하공연을 시작으로, 축제의 백미인 ‘맨손 대하잡기 체험’은 아이들에게는 잊지 못할 추억을, 어른들에게는 유쾌한 즐거움을 선사할 것이다. 또한, 관광객들이 직접 무대에 올라 끼를 발산할 수 있는 ‘관광객 노래자랑’은 축제의 열기를 더하며 모두가 함께 어울리는 화합의 장을 만든다. 이 외에도 다양한 부대 행사와 지역 특산물 판매 부스가 운영되어 방문객들에게 다채로운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대하는 단순히 맛있는 먹거리를 넘어, 건강에도 이로운 웰빙 수산물로 각광받고 있다. 저지방 고단백 식품인 대하는 미네랄이 풍부하고, 특히 키토산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체내 노폐물과 불순물 배출에 도움을 준다. 또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까지 지녀, 남녀노소 모두에게 좋은 영양 간식으로 손색이 없다.홍성 남당항에서 펼쳐지는 제30회 대하축제는 미식과 즐거움, 그리고 건강까지 한 번에 잡을 수 있는 특별한 기회가 될 것이다. 가족, 친구, 연인과 함께 대한민국 대표 자연산 대하의 참맛을 느끼고, 아름다운 서해 바다를 배경으로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어 보기를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