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Culture

책 '판판판'..LP 한 장에 담긴 수다와 인생 이야기

 음악을 사랑하는 이들에게 음반은 단순한 물건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각각의 음반에는 저마다의 사연이 깃들어 있고, 많은 이들이 음악에 빠져들기 시작하는 시기인 중고등학교 시절에 들었던 음악들은 평생을 함께하는 경우가 많다. 필자 역시 고등학교와 대학 시절 즐겨 듣던 7080세대 대중음악과 팝송을 지금도 즐기고 있으며, 음악과 음반에 얽힌 추억들은 여전히 소중하다.

 

최근 출간된 책 『판판판 - 레코드 판 속 수다 한 판, 인생 한 판』(김광현 지음)은 음악잡지 <재즈피플> 편집장을 역임한 저자가 소장 중인 LP 음반 30장을 중심으로 음악과 삶을 이야기하는 에세이다. 저자는 수십 장에 달하는 음반 중에서 재즈, 가요, 팝 등 다양한 장르를 대표하는 30장을 엄선해, 각각의 음반을 구입하게 된 경위와 아티스트 특성, 수록곡, 그리고 자신의 인생 경험을 함께 녹여내며 독자들에게 음악과 함께하는 삶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책을 읽는 동안 필자는 과거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팝송을 녹음하기 위해 카세트 테이프를 준비하던 시절이 떠올랐다. 당시에는 경제적 여유가 부족해 LP를 직접 사서 듣는 대신, 라디오 방송을 통해 음악을 접하거나 친구들의 카세트테이프를 빌려 듣는 것이 주된 음악 감상 방법이었다. 특히 1980년대 라디오 DJ들은 청취자들이 녹음을 할 수 있도록 곡과 곡 사이에 짧은 간격을 두는 배려를 하기도 했다. 지금은 스마트폰과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로 손쉽게 음악을 들을 수 있지만, 그 시절의 녹음 테이프와 음악을 향한 열정은 여전히 생생하게 기억된다.

 

 

 

책 제목 '판판판'은 '레코드 판 속 수다 한 판, 인생 한 판'이라는 부제와 연결되어 있다. 저자는 음반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음악에 관한 수다를 풀어내고, 거기에 자신의 인생 이야기까지 더해 한 권의 책을 완성했다. 1950년대 재즈부터 1990년대 대중가요까지 아우르는 폭넓은 음반 이야기는 단순한 음악 평론이 아니라 음악과 인생을 함께 엮어내는 따뜻한 기록으로 다가온다.

 

책은 세 부분으로 나뉘어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The Best & The First 기록하다’로, 음악사나 개인적으로 최고의 의미를 지닌 음반 11장을 다룬다. 저자는 일본 출장 중 우연히 중고 매장에서 구입한 프린스의 사인이 담긴 음반을 소개하며 그 가치를 평가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들국화, 김건모, 냇 킹 콜, 저니 등 익숙한 아티스트들의 앨범과 그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독자들은 음악이 단순한 소리를 넘어 개인과 사회의 역사를 반영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에서는 방탄소년단 이전에 김건모 3집이 최고 판매 기록을 갖고 있음을 비롯해 영국의 퀸, 미국의 이글스, 전 세계적으로는 마이클 잭슨의 앨범이 여전히 최고 판매량을 자랑한다는 사실도 책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다.

 

두 번째 장 ‘Dream 음악을 꿈꾸다’에서는 9장의 음반을 통해 저자의 개인적 음악 인생을 깊이 들여다본다. 이 부분에서는 음반 자체보다는 저자의 젊은 시절 꿈과 음악에 대한 열정, 그리고 그 시절 겪었던 음악 문화가 주로 다뤄진다. 특히 청계천에서 불법 복제 음반, 이른바 ‘빽판’을 사던 경험은 당시 대중음악 환경을 생생히 보여준다. 대학가요제에 열광하며 밤새 방송을 보고, 테이프가 발매되면 친구들과 함께 들으며 추억을 쌓았던 이야기는 음악과 함께 자란 세대라면 누구나 공감할 대목이다.

 

마지막 세 번째 ‘Life 인생은 음악을 타고’ 편에서는 10장의 음반과 함께 저자의 인생 이야기가 풍성하게 펼쳐진다. LP가 다시 인기를 끌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LP는 과거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매체다. 저자는 송창식 음반을 소개하며 선친이 즐겨 부르던 트윈폴리오의 노래를 떠올리고, 루이 암스트롱 노래가 쓰였던 맥주 광고 이야기 등 음악 외에도 다양한 문화 콘텐츠와 개인사를 함께 풀어낸다. 저자의 아버지로 인해 프로야구 팬이 된 이야기나 인생의 크고 작은 사건들이 음악과 맞물려 흥미롭게 전개된다.

 

이 책의 매력은 단순히 음반을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음반들이 가진 역사적 의미와 저자의 추억, 음악을 매개로 한 인생 이야기까지 한데 묶어 읽는 이로 하여금 음악이 개인과 시대를 어떻게 연결하는지 느끼게 하는 데 있다. 저자는 음악 마니아로서 수천 장의 음반 중 30장을 고르는 어려움을 토로하면서도, 비싼 음반보다는 저렴하더라도 다양한 앨범을 수집하는 방식을 선호한다는 점에서 많은 음악 팬들의 공감을 자아낸다.

 

인터넷 시대가 열리기 전 라디오와 카세트테이프, 그리고 LP라는 물리적 음반 매체를 통해 음악을 즐겼던 기억은 이제 점차 희미해지고 있다. 하지만 저자의 글을 통해 그 시절의 정취와 음악에 대한 순수한 애정을 다시금 느낄 수 있다. 음악을 사랑하는 이들이라면 이 책을 통해 자신만의 음악과 추억을 떠올리며, 언젠가 자신도 소중한 앨범들을 정리하며 그에 얽힌 이야기를 기록해보고 싶다는 마음이 생길 것이다.

 

음악과 인생이 맞닿아 있는 이야기, 『판판판』은 LP 레코드판에 담긴 시간과 추억을 되새기게 하는 특별한 책이다.

 

매혹의 8일, 춘천 마임축제 속으로 '풍덩'

어쩌면 이야기인 듯'을 모티브로 한 '몸풍경'이라는 주제로 진행되며, 몸을 통해 삶을 이야기하고 예술로 풍경을 만들어가는 독특한 경험을 제공한다. 사단법인 춘천마임축제가 주최하고 주관하는 이 축제는 춘천 시내 전역에서 펼쳐지며, 시민과 예술가들이 함께하는 예술적인 장터로서의 역할을 한다.축제의 개막일인 5월 25일에는 중앙로 일대에서 개막행사인 '아!水(수)라장'이 열리며, 이 행사는 오후 1시부터 4시까지 진행된다. 이 퍼포먼스는 도로 위를 무대로 삼아 물을 주제로 한 예술적 표현을 펼친다. 시민들과 예술가들, 마임이스트들이 물을 매개로 일상의 색을 바꾸는 작업을 선보이며, 관객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지난해 '아수라장' 행사에서 보여준 독창적인 물 퍼포먼스는 큰 호응을 얻으며 이번 축제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순간이 될 것이다.축제 둘째 날인 26일에는 '마임의 집'이 커먼즈필드에서 열리며, 1998년부터 운영해온 전통적인 프로그램이 이번에도 이어진다. 마임의 집에서는 마임 공연뿐만 아니라 특별 강연과 젊은 마임이스트들의 무대가 펼쳐져 관객들에게 더 많은 예술적 영감을 제공한다. 춘천 사회혁신센터와 협력하여 진행되는 시민 참여 프로그램인 '모두의 봄'도 축제 기간 내내 열린다. 매일 저녁에는 '걷다보는 마임'이 석사천 산책로에서 진행되어, 자연과 예술이 어우러지는 경험을 선사한다.축제 기간 동안 '도깨비유랑단'은 대학교, 관광지, 보육원 등 시민들이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공간으로 찾아가 마임 공연을 펼친다. 이는 축제의 범위를 넓히고, 더 많은 사람들이 마임을 가까이에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프로그램이다. 특히, 마임과 같은 예술 장르가 일상 속에서 어떻게 펼쳐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며, 지역사회와의 연결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올해 춘천 마임축제의 하이라이트는 '도깨비난장'이다. 이 행사는 5월 31일 오후 2시부터 6월 1일 오전 5시까지 레고랜드 주차장에서 진행되며, 밤새도록 펼쳐지는 공연으로 축제의 절정을 이룬다. '도깨비난장'은 춘천마임축제의 대표적인 콘텐츠로, 1998년부터 시작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아왔다. 이 공연은 참가자들이 다양한 마임 공연과 퍼포먼스를 통해 관객과 소통하며, 축제를 한껏 고조시킨다.또한, 축제 기간 동안 춘천세계인형극축제와 유니마총회와 연계하여 마임축제 참가자들이 퍼레이드 행사에 참여하는 등 다양한 교류가 이루어진다. 이는 춘천 마임축제가 국제적으로도 인정받는 예술 축제임을 보여주는 중요한 부분이다. 춘천시와 함께 하는 예술의 향연은 지역 경제와 문화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올해도 풍성한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관객들의 기대감을 모은다. 특히, 지난해에는 다양한 마임 공연과 예술적 경험들이 시민들과 관람객들의 큰 호응을 얻으며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춘천의 자연을 배경으로 한 마임 공연은 단순히 볼거리를 넘어, 지역 사회와 예술이 하나 되는 경험을 선사했다. 또한, '도깨비난장'은 매년 밤새도록 진행되며 축제의 피날레를 장식한다. 이처럼 춘천 마임축제는 단순한 예술 축제가 아닌, 지역 주민들과의 교류, 문화적 소통의 장으로 자리잡았다.육동한 춘천시장은 이번 축제에 대해 "마임축제는 공연을 통해 마임의 매력을 널리 알리고,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예술로 하나 되는 향연이 될 것"이라며, "도시의 자연과 시민의 몸짓이 어우러지는 특별한 8일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올해 춘천 마임축제는 예술과 자연, 사람들의 몸짓이 하나 되는 축제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