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Culture

한국인 심사위원도 '경악'... 베를린 케이팝 예선 개최

 지난달 29일 독일 베를린 케셀하우스 공연장에서 '2025 케이팝 월드 페스티벌 – 베를린 오디션'이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고 주독일한국문화원이 4일 발표했다. 외교부, KBS 월드, 창원시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이 글로벌 케이팝 축제는 전 세계 100여 개국에서 예선을 치르며, 최종 본선은 오는 10월 한국에서 열릴 예정이다.

 

이번 베를린 예선전은 단순히 독일 현지인들만의 축제가 아닌, 유럽 전역을 아우르는 국제적인 행사로 진행되었다. 독일을 비롯해 스페인, 우크라이나, 러시아, 앙골라, 콜롬비아 등 다양한 국적의 참가자들이 케이팝에 대한 열정을 무대 위에서 펼쳤다. 300여 명의 관객들이 객석을 가득 메운 가운데, 케이팝의 세계적 인기와 영향력을 실감케 하는 뜨거운 현장이 연출되었다.

 

지난 5월부터 시작된 참가팀 모집에는 50개 이상의 팀이 지원했으며, 이 중 온라인 예선을 통과한 17개 팀(노래 6팀, 댄스 11팀)만이 본 무대에 설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심사는 케이팝 아이돌 트레이닝 전문가인 배은경, 박영민 트레이너가 맡아 전문성을 더했다.

 

대회 결과, 에스파의 '위플래시' 안무를 강렬한 카리스마로 소화해낸 솔로팀 'Memo(메모)'가 특별상을 수상했다. 최우수상 보컬 부문은 지누션의 '전화번호'를 완벽한 호흡으로 선보인 'L&L(엘엔엘)'이, 댄스 부문에서는 칼군무로 실제 케이팝 그룹 '배드빌런'을 연상케 한 'AmityX(아미티엑스)'가 각각 차지했다.

 


영예의 대상은 블랙핑크 리사의 'FUTW'를 압도적인 무대 장악력으로 선보인 'Type S(타입 에스)'에게 돌아갔다. 심사위원들은 이들의 퍼포먼스에 대해 "기성 케이팝 아이돌의 무대를 보는 듯한 수준급 퍼포먼스"라는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이번 행사는 단순한 경연대회를 넘어 관객들이 함께 참여하고 즐기는 축제의 장으로 꾸며졌다. 이모티콘으로 케이팝 노래를 맞히는 게임, 3초 전주 퀴즈 등 관객 참여형 프로그램들이 다채롭게 진행되었으며, 한국 영화, 관광, 전통문화 등 한국의 다양한 면모를 알아보는 퀴즈 코너도 마련되어 케이팝을 넘어 한국 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행사에 참석한 임상범 주독일 한국대사는 "케이팝의 세계화를 압축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케이팝을 통해 한국 문화와 소통하는 기회가 많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베를린 예선에서 우승한 팀들은 이제 본선 진출을 위한 최종 심사 대상이 되어, 10월 한국에서 열리는 본선 무대에 설 기회를 얻기 위한 도전을 이어가게 된다. 이번 행사는 케이팝이 더 이상 아시아 지역에 국한된 문화 현상이 아닌,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글로벌 문화 콘텐츠로 자리매김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자리였다.

 

'7말8초' 대한민국 대이동 예고... 강원도·제주도·부산 TOP3 차지

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여름 국내 여행을 떠난다는 응답이 52.7%로 작년보다 17%포인트나 증가했다.반면,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응답자는 25.9%로 전년 대비 5.2%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국내여행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특히 국내 여행지 중에서는 강원도가 18.1%로 1위를 차지했지만, 작년보다는 7.8%포인트 감소한 수치를 보였다. 제주도가 17.3%로 2위, 부산이 12.2%로 3위를 차지하며 인기 여행지로 자리매김했다.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 중에서는 동남아를 선택한 비율이 30.8%로 가장 높았고, 일본이 30.4%로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했다. 유럽을 선택한 응답자도 14.6%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다.휴가 시기는 7월 마지막 주(29.1%)와 8월 첫째 주(22.5%)에 집중되어, 이른바 '7말8초'에 과반수의 사람들이 휴가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는 전통적으로 한국의 여름 휴가 성수기로, 많은 직장인들이 집중적으로 휴가를 사용하는 기간이다.예상 지출 비용을 살펴보면, 국내여행의 경우 1인당 '50만원에서 100만원' 사이를 예상한 응답자가 36.8%로 가장 많았다. 해외여행은 '100만원에서 200만원' 사이라고 답한 비율이 27.7%로 가장 높았다. 이는 해외여행이 국내여행보다 평균적으로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됨을 보여준다.여름 휴가지를 선정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관광지와 놀거리'(54.8%), '음식'(48.8%), '비용'(41.7%)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용 측면은 여행 계획 수립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한편, 올해 여름휴가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들도 30.9%에 달했다. 이들이 휴가를 계획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경제적 부담'(42.3%)이 가장 많았고, '성수기라 사람이 많을 것 같아서'(29.4%), '휴가를 가야 할 이유를 크게 못 느껴서'(22.9%) 순으로 응답했다. 이는 경제적 상황이 여행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휴가를 가지 않기로 한 응답자들은 아낀 휴가 비용을 생활비(37.4%), 적금·저축(15.3%), 주식 투자(6.8%) 등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여행 대신 재정적 안정을 위한 선택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이번 조사 결과는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여행 트렌드와 경제적 상황이 여름휴가 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볼 수 있다. 특히 국내여행 선호도가 크게 증가한 점은 국내 관광 산업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