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Culture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 내한 첫 무대서 베토벤 ‘황제’로 심장 강타 예고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가 한국에서 첫 내한공연을 선보인다. 세계적인 클래식 경연대회인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의 협력 오케스트라로 명성이 높은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는 오는 9월 24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한국 관객과 만난다. 이번 무대에서는 모차르트의 ‘티토 황제의 자비’ 서곡,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5번’(일명 ‘황제’), 그리고 브람스의 ‘교향곡 1번’ 등 명곡들이 연주된다.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는 벨기에 클래식 음악의 중심지인 ‘보자르 센터’의 상주 오케스트라로서, 브뤼셀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함께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의 상주 오케스트라 역할을 수행해 왔다.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는 세계 3대 콩쿠르 중 하나로 손꼽히며,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는 콩쿠르 참가자들과 긴밀한 협업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공연의 지휘자는 2022년부터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의 상임 지휘자로 활약하고 있는 안토니 헤르무스다. 그의 지휘 아래 오케스트라는 유려한 연주를 선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협연자로는 1991년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서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와 함께 무대에 올라 4위를 차지한 피아니스트 백혜선이 나선다. 백혜선은 한국인 최초로 세계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낸 연주자로, 이번 내한공연에서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의 섬세하고 웅장한 해석을 선사할 예정이다.

 

이번 서울 공연을 시작으로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는 안동예술의전당(9월 25일), 경기아트센터(26일), 공주문예회관(27일), 대구콘서트하우스(28일), 고양아람누리(30일) 등 전국 주요 공연장에서도 연이어 무대를 가진다. 각 지역의 클래식 애호가들은 세계적 수준의 오케스트라와 연주자의 만남을 통해 깊이 있는 음악 감상의 기회를 맞이할 전망이다.

 

이번 내한공연은 벨기에 클래식 음악의 정수를 한국 무대에 직접 전달하는 의미 있는 자리로 평가된다. 특히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와의 오랜 인연과 세계적인 명성을 가진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의 첫 내한이라는 점에서 음악계의 기대가 크다. 공연기획사 라보라는 “한국 관객에게 유럽 클래식의 진수를 선보일 이번 공연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는 이번 공연을 통해 클래식 음악의 전통과 현대적 해석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연주를 선보일 예정이다. 세계적인 지휘자와 피아니스트가 이끄는 무대에서 한국의 클래식 팬들은 모차르트, 베토벤, 브람스 등 거장들의 작품을 생생하게 경험하며 음악의 감동을 만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벨기에 국립 오케스트라의 내한은 클래식 음악의 깊이와 아름다움을 국내에 널리 알리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7말8초' 대한민국 대이동 예고... 강원도·제주도·부산 TOP3 차지

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여름 국내 여행을 떠난다는 응답이 52.7%로 작년보다 17%포인트나 증가했다.반면,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응답자는 25.9%로 전년 대비 5.2%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국내여행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특히 국내 여행지 중에서는 강원도가 18.1%로 1위를 차지했지만, 작년보다는 7.8%포인트 감소한 수치를 보였다. 제주도가 17.3%로 2위, 부산이 12.2%로 3위를 차지하며 인기 여행지로 자리매김했다.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 중에서는 동남아를 선택한 비율이 30.8%로 가장 높았고, 일본이 30.4%로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했다. 유럽을 선택한 응답자도 14.6%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다.휴가 시기는 7월 마지막 주(29.1%)와 8월 첫째 주(22.5%)에 집중되어, 이른바 '7말8초'에 과반수의 사람들이 휴가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는 전통적으로 한국의 여름 휴가 성수기로, 많은 직장인들이 집중적으로 휴가를 사용하는 기간이다.예상 지출 비용을 살펴보면, 국내여행의 경우 1인당 '50만원에서 100만원' 사이를 예상한 응답자가 36.8%로 가장 많았다. 해외여행은 '100만원에서 200만원' 사이라고 답한 비율이 27.7%로 가장 높았다. 이는 해외여행이 국내여행보다 평균적으로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됨을 보여준다.여름 휴가지를 선정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관광지와 놀거리'(54.8%), '음식'(48.8%), '비용'(41.7%)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용 측면은 여행 계획 수립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한편, 올해 여름휴가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들도 30.9%에 달했다. 이들이 휴가를 계획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경제적 부담'(42.3%)이 가장 많았고, '성수기라 사람이 많을 것 같아서'(29.4%), '휴가를 가야 할 이유를 크게 못 느껴서'(22.9%) 순으로 응답했다. 이는 경제적 상황이 여행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휴가를 가지 않기로 한 응답자들은 아낀 휴가 비용을 생활비(37.4%), 적금·저축(15.3%), 주식 투자(6.8%) 등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여행 대신 재정적 안정을 위한 선택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이번 조사 결과는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여행 트렌드와 경제적 상황이 여름휴가 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볼 수 있다. 특히 국내여행 선호도가 크게 증가한 점은 국내 관광 산업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