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Culture

나무못만 쓴 줄 알았는데…600년 전 조선 배에서 발견된 '쇠못'의 정체

 2007년 한 어부가 주꾸미가 휘감은 고려청자를 건져 올리며 시작된 충남 태안 마도 해역의 수중 발굴이 18년 만에 역사적인 성과를 거뒀다.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올해 4월부터 진행한 인양 작업을 통해 조선 전기에 침몰한 조운선 '마도4호선'의 선체를 600여 년 만에 바다 위로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마도4호선은 2015년 발견 당시부터 '나주광흥창(羅州廣興倉)'이라 적힌 목간과 공납용 분청사기 등을 통해 1420년경 나주에서 세곡과 공물을 싣고 한양으로 향하다 침몰한 사실이 밝혀져, 기록으로만 전해지던 조선시대 세곡 운반선의 실체를 처음으로 확인시켜 준 귀중한 유산이다. '바닷속의 경주'라 불릴 만큼 수많은 고선박이 잠들어 있는 이 해역에서 통일신라와 고려 시대 배에 이어 마침내 조선 시대 선박의 실물 자료까지 확보하게 된 것이다.

 

이번에 인양된 마도4호선은 기존에 발굴된 고려 시대 선박과는 확연히 다른 특징들을 보여주며 조선 전기 조선술의 비밀을 풀어줄 핵심 열쇠로 떠올랐다. 가장 큰 차이점은 돛대의 구조다. 배 중앙에 외돛대 하나만 설치했던 고려 선박과 달리, 마도4호선은 배의 앞부분과 중앙에 각각 돛대를 세운 '쌍돛대' 구조임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이는 항해 속도를 높이고 바람의 방향에 맞춰 더 유연하게 기동하기 위한 혁신적인 시도로 분석된다. 또한 선체 부재를 결합하는 방식에서도 작은 나무못을 촘촘하게 사용해 정교함을 더했으며, 특히 선체를 수리한 흔적에서 우리나라 고선박 중 최초로 '쇠못'을 사용한 사실이 발견되어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는 당시 선박 기술의 발달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획기적인 자료다.

 


마도4호선 인양의 흥분이 채 가시기도 전에, 연구소는 음파탐사를 통해 바로 인근 해역에서 또 다른 고선박, '마도5호선'으로 추정되는 흔적을 찾아내면서 발굴의 새로운 막을 예고했다. 잠수 조사를 통해 이미 12세기 중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고려청자 87점과 목제 닻, 밧줄, 볍씨 등 다수의 유물이 확인됐다. 유물의 구성으로 보아 마도5호선 역시 곡물과 도자기를 운반하던 선박으로 추정되며, 만약 배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부재가 발견된다면 현재까지 마도 해역에서 나온 배들 중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예로부터 거센 바람과 잦은 안개, 암초 지대로 악명 높아 '난행량(難行梁)'이라 불렸던 태안 앞바다가 왜 수중 유물의 보고가 될 수밖에 없었는지 짐작하게 하는 대목이다.

 

내년이면 신안선 발굴로 시작된 우리나라 수중고고학이 50주년을 맞는다. 마도 해역에서만 현재까지 2만 8천여 점의 유물이 쏟아져 나왔고, 이 중 9점은 국가지정 보물이 되었으며 마도4호선의 분청사기 등 8점도 보물 지정을 앞두고 있다.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수중발굴 50주년을 기념하고 국민적 관심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행사를 기획 중이다. 지난 9월에는 일반인 잠수사를 대상으로 유물 실측과 인양을 체험하는 행사를 열어 32명 모집에 800여 명이 몰리는 등 뜨거운 반응을 얻기도 했다. 주꾸미 한 마리가 우연히 열어젖힌 바닷속 타임캡슐이 이제는 단순한 유물 발굴을 넘어 국민과 함께 역사를 체험하고 공유하는 거대한 문화의 장으로 확장되고 있다.

 

밀양아리랑이 돈이 된다고?…'노래하는 창의도시' 선포한 밀양의 큰 그림

햇살문화캠퍼스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도시의 문화·사회·경제가 만나 함께 빛나는 햇살 문화 엑스포'라는 주제 아래, 단순한 지역 축제를 넘어 밀양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장으로 기획되었다. 방치될 수 있었던 폐교 캠퍼스를 새로운 문화 거점으로 재탄생시키고, 시민과 예술인, 국내외 전문가들이 한데 모여 밀양의 문화적 가치를 재발견하고 세계와 연결되는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특히 이번 엑스포는 밀양의 국제적 위상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행사 기간 중 열린 문화유산 국제 콘퍼런스는 '오래된 미래, 문화유산을 통한 도시의 미래 전망'을 주제로 5개국 12개 기관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깊이 있는 논의를 펼쳤다. 이 자리에서 밀양시는 '유네스코 창의 도시 밀양'이라는 담대한 비전을 선포하며 문화도시로서의 포부를 공식화했다. 나아가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및 몽골 국립문화유산센터와 문화유산 보호 및 전승을 위한 협약을 체결함으로써, 지역의 문화유산을 세계와 함께 지키고 발전시켜 나갈 실질적인 협력 기반을 마련했다.국제적 교류의 장뿐만 아니라,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문화예술 행사도 엑스포 기간 내내 펼쳐졌다. 밀양대페스타와 연계하여 '기억, 로컬, 미래'를 주제로 열린 공연과 전시에는 무려 80개 단체가 참여해 햇살문화캠퍼스 곳곳을 활기로 가득 채웠다. 밀양의 정체성을 담은 주제공연 '날 좀 보소'는 관람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으며, '새로운 시대, 새로운 지역,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제로 한 미래 포럼에서는 지역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진지한 담론이 오갔다. 이는 엑스포가 전문가들만의 행사가 아닌, 모든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진정한 축제의 장이었음을 보여준다.밀양시는 이번 엑스포의 성공을 문화와 경제가 동반 성장하는 도시로 나아가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삼겠다는 각오다. 안병구 시장이 밝혔듯이, 이번 행사는 밀양의 대표적 문화유산인 밀양아리랑을 중심으로 도시의 미래 가능성을 확인하는 기회였다. 앞으로 밀양시는 이번에 선포한 비전을 바탕으로 문화적 자산이 곧 지역의 경제적 성장 동력이 되는 '노래하는 창의도시'로 발전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들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한때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던 대학 캠퍼스가 수많은 사람의 발길이 머무는 문화 공간으로 재탄생한 것처럼, 밀양시 전체가 새로운 활력으로 가득 찬 도시로 변모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