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

관광

전 세계 호텔 최초! 핑크 덕후들 심장 저격할 '팬톤 딸기 뷔페' 등장

 JW 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 서울이 겨울을 맞아 화려한 핑크빛 향연, '살롱 드 딸기'를 선보인다. 

 

2015년 첫 선을 보인 이후 매년 겨울 딸기 마니아들의 열렬한 사랑을 받아온 '살롱 드 딸기'가 올해는 더욱 특별하게 돌아왔다. 바로 글로벌 색채 기업 팬톤과의 만남을 통해 전 세계 호텔 최초로 팬톤 컬러를 입은 딸기 뷔페를 선보인 것이다.

 

호텔 LL층에 위치한 '더 라운지'는 팬톤의 사랑스러운 핑크 컬러 '스트로베리 크림'과 '핑크 드링크'로 물들었다. 마치 동화 속 공간처럼 변신한 라운지에 들어서는 순간, 달콤한 딸기 향과 함께 황홀한 핑크빛 세계가 펼쳐진다.

 

이번 '살롱 드 딸기'의 주인공은 당연히 딸기다. 논산 해인팜에서 직접 공수한 신선한 딸기는 압도적인 크기의 킹스 베리부터 눈처럼 새하얀 만년설, 당도 높은 죽향, 비타민 가득한 비타 베리까지 최고급 품종만을 엄선했다.

 

싱싱한 생딸기는 물론, 20여 종의 화려한 디저트와 5가지 세이보리 메뉴로 재탄생되어 눈과 입을 동시에 사로잡는다. 팬톤의 시그니처 핑크 컬러를 입은 디저트들은 마치 예술 작품처럼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포트와인 향이 은은하게 감도는 산딸기 콤포트, 입안에서 사르르 녹는 베리 즐레 파나코타, 피스타치오와 라즈베리의 조화가 환상적인 오페라 케이크 등 이름만 들어도 군침이 도는 디저트들이 가득하다.

 

 

 


특히, 팬톤의 '스트로베리 핑크' 컬러 초콜릿 분수가 끊임없이 흘러내리는 퐁듀 존은 '살롱 드 딸기'의 백미다. 갓 구운 추로스, 도넛, 제철 과일을 따뜻한 초콜릿에 찍어 먹는 즐거움은 오래도록 기억될 것이다.

 

달콤한 디저트와 함께 즐길 수 있는 세이보리 메뉴 또한 빼놓을 수 없다. 지난해 큰 인기를 끌었던 딸기 크림새우와 로제 떡볶이를 비롯해 랍스터&새우 샌드위치, 훌리 훌리 치킨 또띠아 랩, 카프레제 모둠 베리 샐러드까지 다채롭게 준비되어 있다.

 

주말에는 호텔 페이스트리 팀이 직접 만든 특별한 수제 딸기 아이스크림도 맛볼 수 있다. 케이크를 씹는 듯한 독특한 식감의 아이스크림은 오직 주말에만 만나볼 수 있는 특별 메뉴다.

 

JW 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 서울의 '살롱 드 딸기'는 오는 3월 14일까지 진행된다. 평일은 오후 1시 30분부터 2시간씩 두 차례, 주말과 공휴일은 오전 11시부터 2시간씩 세 차례 운영된다.

 

여름에 오르기 좋은 명산 네 곳, 각기 다른 매력과 산행 포인트 총정리

(779m)은 비로봉, 보현봉, 문수봉, 관음봉, 나한봉 다섯 봉우리로 이루어져 이름 그대로 오봉산이라 불린다. 남쪽으로는 소양호, 북쪽으로는 파로호가 보이는 명당에 자리해 수려한 경관을 자랑한다. 이 산이 특별한 이유는 청평사, 고려정원, 구성폭포 등 명소가 많고, 특히 내륙 산임에도 소양호를 끼고 있어 배를 타고 산행을 시작할 수 있다는 점이다. 과거 청평사는 배를 이용하지 않고는 드나들기 어려워 마지막 배를 놓친 연인들에게 특별한 추억을 남긴 곳이기도 했다. 10여 년 전 오봉산 백치고개가 확대 포장되면서 이런 추억은 역사가 됐지만, 여전히 소양댐에서 출발하는 배편은 인기가 높다. 대부분 등산객은 배후령에서 산행을 시작하며, 표고차가 크지 않아 비교적 쉽게 정상에 오를 수 있다. 다만 암릉이 많아 위험 구간에는 철주와 쇠줄이 설치되어 있으니 초심자들은 주의해야 한다.전라북도 변산반도의 변산(508m)은 바다와 산, 어느 쪽에서 보아도 멋진 풍광을 자랑한다. 서해를 향해 튀어나온 반도 내부 산악지대를 내변산, 바다와 접한 지역을 외변산으로 구분한다. 변산의 여러 봉우리 중 가장 인기 있는 곳은 관음봉과 세봉으로, 이 두 봉우리를 잇는 산줄기가 명찰 내소사를 감싸고 있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일반적인 산행 코스는 내소사 입구 일주문에서 출발해 관음봉 삼거리, 관음봉, 세봉, 세봉 남릉을 거쳐 다시 일주문으로 돌아오는 원점회귀형이다. 직소폭포나 월명암 방면으로 넘어갈 수도 있지만, 차량을 내소사에 주차했다면 되돌아오는 길이 번거로울 수 있다.경상북도 포항시와 영덕군 경계에 위치한 내연산(710m)은 낙동정맥 줄기가 주왕산을 지나 동해안 쪽으로 뻗어 형성된 산이다. 문수산(622m), 삼지봉(내연산 정상, 710m), 향로봉(930m), 우척봉(755m)으로 능선이 이어진다. 완만한 육산이라 단조로워 보일 수 있으나, 20리에 달하는 골짜기에는 12개의 폭포가 자리하고 있다. 청하골 12폭포로 불리는 이 폭포군은 내연골 초입 상생폭포부터 시작해 보현폭, 삼보폭, 장룡폭, 무룡폭을 거쳐 제6폭포 관음폭과 제7폭포 연산폭 일대에서 계곡미의 진수를 보여준다. 산길이 순하고 뚜렷하게 이어지며, 위험 구간에는 안전시설물이 잘 갖춰져 있어 편안한 산행이 가능하다. 보경사에서 시작해 여러 폭포를 거치는 인기 코스는 천천히 걸어도 1시간 정도면 충분히 즐길 수 있다.마지막으로 운문산(1,195m)은 가지산과 함께 영남알프스 산군의 북쪽에 거대한 산줄기를 형성하고 있다. 이 산군의 능선을 따라 경북 청도군과 경주시, 경남 밀양시와 울산광역시의 경계가 이루어져 지역 문화와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동과 영서를 나누는 백두대간만큼이나 이 지역에서는 중요한 산군이다. 가지산과 한 줄기로 연결된 운문산은 능선종주가 가능한 긴 산줄기지만, 대부분의 등산객은 각 봉우리를 별개의 산행지로 인식한다. 특히 산행 시작점의 고도가 낮은 운문산은 정상까지 오르는 데만 약 2시간이 소요될 정도로 고도차가 크다. 석골사에서 시작하는 인기 코스는 물론, 밀양 남명리에서 아랫재를 통해 오르는 코스도 모두 가파른 오르막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