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

관광

외국인들도 반한 청계천 불빛.."새로운 서울 선보여"

서울관광재단은 '2024 서울빛초롱축제'의 연장 운영을 발표하며, 축제 기간을 18일 연장하여 31일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 축제는 2023년 12월 13일부터 시작되어 서울 청계천 일대에서 펼쳐지고 있으며, '소울랜턴: 서울 빛을 놀이하다(SOUL LANTERN: Play with the light of SEOUL)'를 주제로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다양한 빛 조형물과 체험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다. 이번 연장 운영은 청계천을 방문해 축제에 높은 관심을 보인 내외국인 관람객들에 대한 성원에 보답하기 위해 결정되었다.

 

서울의 겨울을 화려하게 수놓는 이 축제는 지난해까지 광화문광장에서 펼쳐졌으나, 올해는 청계천을 무대로 돌아왔다. 기존의 전통적인 '한지 등(燈)'에 더해, 새로운 빛 조형물들이 추가되며 더욱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신비의 물결'은 광교 하단 청계천 물 위에 바다 생물들이 유영하는 모습을 미디어 아트로 구현한 작품으로, SNS에서 큰 인기를 끌며 관람객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 미디어 아트는 청계천 물길, 산책로, 교각, 수목 등을 활용한 예술적이고 화려한 연출로 축제의 전통성과 현대성을 잘 결합했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

 

이번 연장 운영 기간 동안, 기존 조형물 외에도 새해를 맞아 새로운 조형물들이 선보였다. 그 중 '서울의 달'은 서울 밤하늘을 수놓은 달과 별 모양의 빛 조형물로, '청계광장에 뜬 달'이라는 콘셉트로 관람객에게 새해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조형물들은 새해 첫날을 맞아 희망과 기쁨을 주는 요소로 축제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고 있다. 

 

축제는 청계천 청계광장에서 삼일교까지 이어지는 1.2㎞ 구간에서 매일 오후 6시부터 10시까지 펼쳐진다. 다만, 이번 연장 기간에는 빛 조형물 전시에만 집중되며, 본 축제 기간 중 진행된 '청계천 광교 갤러리'에서의 체험 프로그램과 서울마이소울샵은 종료된다. 연장 운영 기간에도 축제는 안전을 최우선으로 진행되며, 철저한 관리와 점검을 통해 무사고로 행사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할 방침이다.

 

'2024 서울빛초롱축제'는 개막 이후 지금까지 총 250만 명 이상이 방문했으며, 축제의 성공적인 진행과 외국인 관광객들의 관심 덕분에 서울의 겨울을 대표하는 큰 축제로 자리잡았다. 많은 외국인 관광객들은 "산대희, 어가 행렬, 전통놀이 등 한국 전통문화의 조형물이 정말 아름답고 흥미롭다"며 큰 찬사를 보냈다. 또한, '세계여행'을 주제로 프랑스 파리의 에펠탑, 영국 런던의 빅벤 등을 정교하게 표현한 조형물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서울관광재단의 길기연 대표이사는 "청계천에서 다시 화려하게 열린 서울빛초롱축제가 많은 사랑을 받고 있어 기쁘다"며 "설 연휴 기간 동안 청계천을 방문해 희망의 빛 조형물을 관람하며 새해를 희망차게 시작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서울빛초롱축제는 서울의 겨울밤을 특별하게 만들어 주는 이벤트로 자리잡았으며,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지는 빛의 향연으로 관람객들에게 잊을 수 없는 추억을 선사하고 있다. 이 축제는 앞으로도 서울의 대표적인 겨울 문화 행사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크며, 내년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7말8초' 대한민국 대이동 예고... 강원도·제주도·부산 TOP3 차지

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여름 국내 여행을 떠난다는 응답이 52.7%로 작년보다 17%포인트나 증가했다.반면,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응답자는 25.9%로 전년 대비 5.2%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국내여행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특히 국내 여행지 중에서는 강원도가 18.1%로 1위를 차지했지만, 작년보다는 7.8%포인트 감소한 수치를 보였다. 제주도가 17.3%로 2위, 부산이 12.2%로 3위를 차지하며 인기 여행지로 자리매김했다.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 중에서는 동남아를 선택한 비율이 30.8%로 가장 높았고, 일본이 30.4%로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했다. 유럽을 선택한 응답자도 14.6%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다.휴가 시기는 7월 마지막 주(29.1%)와 8월 첫째 주(22.5%)에 집중되어, 이른바 '7말8초'에 과반수의 사람들이 휴가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는 전통적으로 한국의 여름 휴가 성수기로, 많은 직장인들이 집중적으로 휴가를 사용하는 기간이다.예상 지출 비용을 살펴보면, 국내여행의 경우 1인당 '50만원에서 100만원' 사이를 예상한 응답자가 36.8%로 가장 많았다. 해외여행은 '100만원에서 200만원' 사이라고 답한 비율이 27.7%로 가장 높았다. 이는 해외여행이 국내여행보다 평균적으로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됨을 보여준다.여름 휴가지를 선정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관광지와 놀거리'(54.8%), '음식'(48.8%), '비용'(41.7%)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용 측면은 여행 계획 수립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한편, 올해 여름휴가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들도 30.9%에 달했다. 이들이 휴가를 계획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경제적 부담'(42.3%)이 가장 많았고, '성수기라 사람이 많을 것 같아서'(29.4%), '휴가를 가야 할 이유를 크게 못 느껴서'(22.9%) 순으로 응답했다. 이는 경제적 상황이 여행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휴가를 가지 않기로 한 응답자들은 아낀 휴가 비용을 생활비(37.4%), 적금·저축(15.3%), 주식 투자(6.8%) 등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여행 대신 재정적 안정을 위한 선택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이번 조사 결과는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여행 트렌드와 경제적 상황이 여름휴가 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볼 수 있다. 특히 국내여행 선호도가 크게 증가한 점은 국내 관광 산업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