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

관광

신선이 학을 타고 노닌다는 학가산, 알려지지 않은 기암괴석의 숨겨진 이야기

 강원도 홍천의 대표 명산 공작산은 날개를 활짝 편 공작을 닮았다 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887m 높이의 이 산은 산림청 100대 명산으로 지정됐으며, 여름철 물이 풍부한 계곡과 울창한 수림으로 유명하다. 특히 보물 제745호 <월인석보> 제17권과 18권이 보존된 수타사와 8km에 이르는 수타계곡은 빼놓을 수 없는 명소다.

 

공작산은 한강기맥 상의 장곡현 남쪽 구목령과 태기산 사이에서 서쪽으로 뻗은 능선 끝에 자리하고 있다. 이 산을 중심으로 서쪽에는 홍천강, 북쪽과 북동쪽으로는 군업천, 동쪽에서 시계 방향으로는 덕치천이 흐른다. 품 안에는 수려한 수타사계곡을 품고 있어 등산객들은 이 다양한 지점에서 산행을 시작할 수 있다.

 

경북 안동과 예천의 경계를 이루는 학가산은 '신선이 학을 타고 노니는 산세'라는 옛 기록이 전해지는 곳이다. 이 산에는 삼봉(三峯)과 삼대(三臺)라는 독특한 지형이 있다. 삼봉은 정상인 국사봉과 동쪽의 유선봉, 삼모봉을 말하며, 삼대는 삼모봉 동쪽 능선의 학서대와 난가대, 그리고 872m봉 북릉 초입의 어풍대를 일컫는다.

 

산속으로 들어가면 삼봉삼대 외에도 상사바위, 신선바위, 형제바위 등 잘 알려지지 않은 기암과 절벽들이 산행의 즐거움을 더해준다. 정상에서는 사방으로 펼쳐진 산맥의 파노라마를 감상할 수 있다. 천주마을에서 시작하는 등산로는 약 5.8km로, 왕복 3시간 이상 소요된다.

 


전남 고흥에 위치한 팔영산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내 가장 높은 산으로, 여덟 폭 병풍을 펼쳐놓은 듯한 모습의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산봉우리가 특징이다. 국내 10대 악산으로 꼽힐 만큼 바위가 많은 골산으로, 1998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후 2011년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편입됐다.

 

팔영산은 크게 10개의 봉우리로 구성돼 있으며, 유영봉(491m)부터 시작해 성주봉(538m), 생황봉(564m), 사자봉(578m), 오로봉(579m), 두류봉(596m), 칠성봉(598m), 적취봉(591m), 그리고 정상인 깃대봉(609m)까지 기다란 포물선을 이룬다. 북동 능선에 홀로 떨어진 선녀봉(518m)은 마치 8명의 호위무사를 거느린 여왕처럼 위엄 있는 모습을 자랑한다.

 

경기도 최고봉인 화악산은 한북정맥상 백운산과 국망봉 사이에서 남동쪽으로 뻗은 능선 위에 솟아 있다. 한북정맥에서 분기했지만, 화악산은 주변의 어느 산보다 광범위한 산봉우리들을 거느리고 있다. 북서릉의 석룡산, 서릉의 언니통봉, 남릉의 중봉, 애기봉, 수덕산, 동릉의 응봉과 촉대봉 등이 화악산 정상과 가까이 연결돼 있다.

 

예로부터 화악산은 지리적으로 한반도의 정중앙으로 알려져 왔다. 전남 여수에서 북한 중강진까지 이어지는 국토자오선(동경 127도30분)과 북위 38도선이 교차하는 지점이 바로 화악산 정상이다. 그러나 6.25전쟁 이후 정상은 입산금지구역으로 지정돼 민간인 출입이 제한돼 있으며, 현재는 정상에서 남쪽으로 약 500m 떨어진 중봉(1,460m)까지만 등산이 가능하다.

 

호캉스·온천만 있으면 만족도 폭발...? 여행객들이 '관광'을 포기하는 이유

HCSI) 결과에 따르면, 7일 미만의 단기 여행이 7일 이상의 장기 여행보다 현저히 높은 만족도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이번 조사는 하나투어가 지난해 패키지 여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 것으로, 특히 단기 여행 중에서도 지역별 만족도는 '시코쿠 4일'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치앙마이 5일'이 2위, '오키나와 4일'이 3위를 기록하며 아시아 근거리 여행지의 인기를 입증했다. 이러한 결과는 바쁜 현대인들이 긴 휴가를 내기 어려운 상황에서 짧고 집중적인 휴식을 선호하는 경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여행 테마별 만족도 분석에서는 '지속가능한 여행'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그 뒤를 '힐링휴양', '다이닝·미식', '관광+자유', '관광' 순으로 이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모든 비행시간대에서 호캉스, 온천호텔, 충분한 자유시간 등을 포함한 '힐링휴양' 테마 상품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이는 여행객들이 패키지 여행을 통해 일상에서 벗어나 확실한 휴식과 재충전을 원한다는 심리를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된다.비행시간별 만족도를 살펴보면, '4시간~8시간'의 중거리 비행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기록했고, '4시간 미만'의 근거리와 '8시간 이상'의 장거리 비행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4시간~8시간 비행 구간에서는 4일, 5일, 6일 순으로 일정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 비행시간대에 속하는 여행지 중에서는 치앙마이, 다낭, 라오스 등 동남아시아 지역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이러한 조사 결과는 최근 여행 시장에서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는 '퀵턴(Quick Turn)' 여행 트렌드와도 일맥상통한다. 퀵턴은 짧은 기간 동안 빠르게 다녀오는 여행을 의미하는 것으로, 긴 휴가를 내기 어려운 직장인들 사이에서 주말이나 연휴를 활용한 짧은 해외여행이 인기를 끌고 있는 현상을 반영한다.하나투어 관계자는 "최근 여행객들 사이에서 근거리·단기간 여행이 확고한 트렌드로 자리잡았다"며 "퀵턴 여행의 인기와 더불어 주 4일제 시행 가능성도 논의되면서 단거리 여행 수요는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이러한 여행 트렌드 변화는 코로나19 이후 여행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짧지만 질 높은 휴식을 추구하는 여행객들의 니즈가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특히 검증된 패키지 여행 상품을 통해 효율적으로 휴식을 취하려는 현대인들의 실용적인 여행 방식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