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

관광

우리 동네 축제에도 올까?…반려인들 사이에서 난리 난 '움직이는 펫 성지'

 단순한 푸드트럭이 아니다. 국내 펫푸드 기업 네츄럴코어가 업계 최초로 선보인 '펫푸드트럭' 이야기다. 이 특별한 트럭이 최근 여러 지자체 축제 현장에 연이어 등장하며 반려인과 비반려인 모두의 발길을 사로잡고 있다. 지난 18일 성남시청 광장에서 열린 '2025 반려동물 페스티벌'과 19일 서울 잠수교 '뚜벅뚜벅 축제'에서 첫선을 보인 펫푸드트럭은, 회사의 상징색인 선명한 초록빛 외관만으로도 단번에 시선을 집중시켰다. 이는 단순히 제품을 판매하는 것을 넘어, 시민들과 직접 소통하며 건강한 반려문화를 전파하기 위한 네츄럴코어의 새로운 현장 체험형 캠페인이다.

 

펫푸드트럭의 진가는 그 주변에서 펼쳐지는 다채로운 이벤트에서 드러난다.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이 행사들은 축제의 활기를 더하는 동시에, 네츄럴코어가 추구하는 철학을 자연스럽게 체험하게 만든다.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사료·원재료 챌린지' 게임이다. 1200가지가 넘는 자사 제품의 실제 원재료를 귀여운 모형 인형으로 만들어, 스쿱으로 인형을 담아 목표 무게에 10g 이내로 근접시키면 펫푸드를 선물로 증정한다. 이는 즐거운 게임을 통해 건강한 원료에 대한 자신감과 제품의 다양성을 동시에 보여주는 영리한 시도다. 이 밖에도 럭키드로우를 통해 굿즈와 인기 간식을 증정하고, 세상에 하나뿐인 '나만의 반려견 키링 만들기' 코너를 운영하는 등 방문객들에게 특별한 추억을 선물했다.

 


네츄럴코어가 굳이 1200가지가 넘는 제품을 소개하기 위해 트럭까지 제작한 이유는 명확하다. 바로 '사랑하는 반려동물이 먹는 음식은 좋은 원료로 정성껏 만들어야 한다'는 확고한 기업 철학을 더 많은 사람에게, 더 가까이에서 전달하기 위함이다. 송주미 이사는 "반려가족, 일반 시민들과 가까이에서 소통하며 회사의 철학을 전달했다"고 밝히며, 즐거운 현장 경험이 건강한 반려문화 확산으로 이어지길 기대했다. 펫푸드트럭은 이러한 소통의 창구이자, 움직이는 홍보대사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는 셈이다.

 

펫푸드트럭의 여정은 이제 시작이다. 오는 25일 서울 노원구의 '노원 반함' 축제를 비롯해 서울 각 지역과 경기 안산시 등 수도권 지자체 축제에 순차적으로 참여하며 더 많은 시민들을 만날 예정이다. 특히 앞으로의 활동에는 자문 수의사가 동행하여 전문적인 영양 상담까지 제공할 계획이라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는 단순히 제품을 알리는 것을 넘어, 각 반려동물에게 맞는 사료 선택을 돕는 깊이 있는 서비스로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멈추지 않는 펫푸드트럭의 다음 행선지가 벌써부터 기다려진다.

 

내년 한국인 여행지 1위, '도쿄·오사카' 아니었다…476% 폭증한 '이곳'의 정체는?

유지하겠다는 응답(44%)을 넘어, 올해보다 더 자주, 더 많이 떠나겠다는 적극적인 여행객도 36%에 달했다. 주목할 점은 예산 계획의 변화다. 무조건 저렴한 곳만 찾는 '가성비 여행'의 시대는 저물고 있다. 10명 중 7명 이상이 올해와 비슷하거나 더 많은 돈을 여행에 쓸 의향이 있다고 밝혔으며, 특히 항공권과 숙박에 더 과감히 투자하겠다는 응답자도 31%나 되었다. 이는 여행의 '양'뿐만 아니라 '질'을 높이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그렇다면 이들이 선택한 여행지는 어디일까? 놀랍게도 정답은 도쿄나 파리 같은 대도시가 아니었다. 한국인들의 시선은 이제 덜 알려졌지만 특별한 매력을 간직한 일본의 소도시로 향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검색량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아름다운 단풍으로 유명한 '아사히카와'의 검색량은 전년 대비 무려 476%나 폭증하며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오키나와의 숨은 보석'이라 불리는 '미야코지마' 역시 247% 상승하며 그 뒤를 이었다. 비단 일본뿐만이 아니다. 중국의 '충칭'(245%), 아프리카의 섬나라 모리셔스의 '포트루이스'(148%), 이탈리아 남부의 '바리'(87%) 등 기존의 인기 여행지 공식을 벗어난 이색적인 장소들이 새로운 스타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남들이 다 가는 곳을 따라가는 여행이 아닌, 나만의 취향과 이야기를 담을 수 있는 곳을 찾아 떠나는 '맞춤형 여행'이 대세가 되었음을 의미한다.여행의 목적 또한 극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제 여행은 단순히 유명 관광지에서 인증샷을 남기는 행위를 넘어섰다. 새로운 트렌드의 선두에는 '마트어택'이 있다. 비싼 맛집 대신 현지 슈퍼마켓을 공략해 그 나라의 진짜 식문화를 경험하려는 흐름으로, 한국인 여행객의 절반 이상이 이를 즐기고 있었다. 그런가 하면 MZ세대 사이에서는 '여·만·추(여행에서의 만남을 추구)'가 새로운 코드로 떠올랐다. 여행지에서 새로운 친구를 사귀거나 로맨틱한 인연을 기대하는 이들이 10명 중 4명에 달할 정도. 문학 작품의 배경이 된 장소를 찾아가거나 현지 서점을 탐방하는 '책스케이프' 역시 큰 인기다. 이미 한국인 응답자의 63%가 책에서 영감을 받아 여행을 떠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정보 습득 방식의 변화가 있다. 과거 여행 책자나 블로그가 하던 역할은 이제 '유튜브'가 대신하고 있다. 전체 응답자의 61%가 유튜브를 통해 여행 정보를 얻는다고 답했으며, 특히 Z세대에게는 유튜브(70%)와 인스타그램(56%)이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결국 2026년의 여행은 정해진 코스를 따르는 단체 관광이 아닌, 유튜브에서 발견한 이색적인 숙소(아부다비)나 현지 식재료(이탈리아 바리) 등 지극히 개인적인 관심사에서 출발하는 '나만의 여정'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