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매일

건강매일

다이어트 실패는 밀가루 때문? 영양사도 모르는 '대체 밀가루' 효능 大공개

 한때 정부가 쌀 소비를 줄이고 밀가루 음식을 장려하던 시절이 있었다. 분식이라는 이름으로 떡볶이, 라면, 국수 등 밀가루 음식이 한국인의 식탁에 자리 잡았지만, 이제 그 시대는 완전히 지나간 듯하다. 현대 영양학의 발전과 함께 밀가루는 이제 건강에 해롭다는 인식이 팽배해지며 '천덕꾸러기' 식재료로 전락했다. 특히 다이어트와 장 건강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일반 밀가루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대체 밀가루'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대체 밀가루는 단순히 밀가루의 대안을 넘어 각각 고유한 영양 프로필과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개인의 건강 목표와 식이 요구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어졌다. 단백질 함량이 높은 밀가루부터 탄수화물이 적고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한 밀가루까지 그 종류도 다양하다. 그렇다면 어떤 밀가루가 가장 건강에 좋을까? 각 밀가루의 특성과 영양가를 자세히 살펴보자.

 

우선 가장 흔히 사용되는 흰 밀가루(All-purpose flour)는 제빵부터 튀김옷, 소스 농축까지 다용도로 활용되는 만능 재료다. 하지만 밀의 껍질을 정제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섬유질과 단백질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1컵(약 125g) 기준으로 455칼로리, 단백질 13g, 탄수화물 95g, 식이섬유 3.5g을 포함하고 있어 영양소 밀도가 낮은 편이다. 또한 정제 과정에서 대부분의 비타민과 미네랄이 손실되어 영양학적으로는 '빈 칼로리'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와 대조적으로 통밀 가루(Whole wheat flour)는 밀의 배젖, 겨층, 배아를 모두 포함하여 가공되기 때문에 섬유질, 철분, 비타민 B군이 풍부하다. 1컵 기준으로 408칼로리, 단백질 16g, 탄수화물 86g, 식이섬유 13g을 함유하고 있어 일반 밀가루보다 영양가가 월등히 높다. 특히 식이섬유 함량이 일반 밀가루의 거의 4배에 달해 장 건강과 포만감 유지에 도움이 된다. 다만 통밀 가루는 밀도가 높아 베이킹 시 추가 수분이 필요할 수 있으며, 빵이나 과자를 만들 때 조금 더 무거운 식감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글루텐 민감성이나 셀리악병을 가진 사람들에게 좋은 대안으로 메밀 가루(Buckwheat flour)가 있다. 이름에 '밀'이 들어가지만 실제로는 메밀은 밀과 전혀 관련이 없는 식물로, 글루텐이 없으며 단백질과 섬유질이 풍부하다. 1컵 기준으로 단백질 11g, 식이섬유 12.5g을 포함하며 철분, 마그네슘, 폴리페놀도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특히 항산화 성분인 루틴이 풍부하여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메밀 가루는 독특한 풍미를 가지고 있어 소바 국수나 블리니(러시아식 팬케이크) 같은 요리에 주로 사용된다.

 

최근 건강식으로 주목받는 오트밀을 가루로 만든 오트밀 가루(Oat flour)도 인기를 끌고 있다. 귀리를 곱게 빻아 만든 이 밀가루는 베타글루칸이라는 수용성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장 건강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1컵 기준으로 360칼로리, 단백질 12g, 탄수화물 64g, 식이섬유 10g을 포함하고 있어 영양 밀도가 높은 편이다. 오트밀 가루는 글루텐 함량이 매우 낮아 글루텐에 민감한 사람들도 비교적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지만, 완전한 글루텐 프리 식품을 찾는 사람들은 '글루텐 프리' 인증을 받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저탄수화물 식단이나 케토 다이어트를 실천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아몬드 가루(Almond flour)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아몬드를 곱게 갈아 만든 이 밀가루는 건강한 불포화 지방과 단백질이 풍부하며, 탄수화물 함량이 매우 낮다. 1컵 기준으로 600칼로리, 단백질 25g, 탄수화물 16g, 식이섬유 9g을 포함하고 있어 에너지 밀도는 높지만 탄수화물 함량은 일반 밀가루의 약 1/6 수준이다. 아몬드에 풍부한 비타민 E와 마그네슘도 함께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아몬드 가루는 일반 밀가루보다 밀도가 높아 베이킹 시 추가 계란을 넣어주는 것이 좋으며,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아시아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쌀가루(Rice flour)는 백미 또는 현미를 곱게 갈아 만든 밀가루로, 글루텐이 없어 소화가 쉬운 편이다. 1컵 기준으로 524칼로리, 단백질 10g, 탄수화물 113g을 포함하고 있어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편이다. 쌀가루는 특유의 부드러운 식감으로 떡이나 모찌 같은 아시안 디저트에 주로 사용되지만, 글루텐이 없어 빵과 같은 구조를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서양식 베이킹에서는 다른 밀가루와 혼합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미로 만든 쌀가루는 백미 쌀가루보다 섬유질과 영양소가 더 풍부하다.

 

슈퍼푸드로 알려진 퀴노아를 가공한 퀴노아 가루(Quinoa flour)는 단백질이 풍부한 완전 단백질 공급원이며, 항산화 성분도 다량 함유하고 있다. 1컵 기준으로 430칼로리, 단백질 13g, 탄수화물 78g, 식이섬유 7g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함유하고 있어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으로 우수하다. 퀴노아 가루는 글루텐이 없어 글루텐 프리 베이킹에 적합하지만, 단독으로 사용하면 약간 쓴맛이 날 수 있어 다른 밀가루와 혼합해 사용하는 것이 좋다.

 

남미 원산의 카사바 뿌리에서 추출한 카사바 가루(Cassava flour)는 최근 글루텐 프리 식품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유카 뿌리라고도 불리는 카사바에서 추출한 이 밀가루는 중립적인 맛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요리에 활용 가능하다. 1컵 기준으로 500칼로리, 탄수화물 122g, 식이섬유 7g을 포함하고 있으며, 일반 밀가루와 유사한 식감을 제공해 글루텐 프리 베이킹에 이상적이다. 그러나 단백질 함량이 매우 낮아 추가적인 단백질 공급이 필요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코코넛 가루(Coconut flour)는 코코넛을 건조하여 곱게 간 밀가루로, 모든 대체 밀가루 중에서 식이섬유가 가장 풍부하다. 1컵 기준으로 560칼로리, 단백질 21g, 탄수화물 75g, 식이섬유 44g을 포함하고 있어 식이섬유 함량이 일반 밀가루의 12배 이상이다. 코코넛 가루는 저탄수화물, 케토 친화적 식단에 적합하며, 코코넛 특유의 은은한 향이 있어 디저트 베이킹에 특히 좋다. 그러나 수분 흡수력이 매우 높아 베이킹 시 일반 밀가루보다 훨씬 많은 액체가 필요하며, 다른 밀가루와 혼합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밀가루 선택은 개인의 영양 필요와 요리 방식, 건강 목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저탄수화물 식단을 원한다면 아몬드 밀가루나 코코넛 밀가루가 적합하고, 글루텐 프리 옵션을 찾는다면 메밀, 쌀, 카사바, 코코넛 밀가루가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섬유질과 단백질을 강화하고 싶다면 통밀, 귀리, 퀴노아 밀가루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현대인의 식생활이 다양해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제 밀가루는 하나의 선택지가 아닌 다양한 옵션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각 밀가루의 특성을 이해하고, 자신의 건강 목표와 요리 스타일에 맞는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밀가루의 시대는 끝났지만, 다양한 대체 밀가루의 시대는 이제 막 시작되었다.

 

24시간도 모자란다는 '이곳', '24시 여행지'로 폭발 중

6년 대비 93.5% 수준의 회복률이다. 하지만 부산의 경우 이러한 추세를 뛰어넘는 성과를 거두며 외래 관광 시장의 새로운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다. 지난해 부산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수는 약 292만 9000명으로, 이는 코로나 직전인 2019년 268만 8000명을 넘어서는 108.9%의 초과 회복률이다.특히 주목할 점은 부산을 방문한 외국인 중 대만인이 50만 명으로 가장 많았고, 일본 관광객 45만 6000명을 제치며 1위를 차지했다는 사실이다. 부산의 관광 인기는 올해도 지속되고 있으며, 2024년 5월까지 약 138만 명의 외국인 관광객이 부산을 방문해 연말까지 330만~35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이 같은 부산의 관광 인기 요인 중 하나는 야간 관광 콘텐츠의 활성화다. ‘24시간 부산’이라는 이미지가 확산되며 세계적인 여행 정보 사이트 ‘트립어드바이저’의 여행 만족도 분석에서 부산은 동북아 8개 도시 중 도쿄와 상하이를 제치고 2위를 차지했다. CNN과 뉴욕타임스가 선정한 ‘아름다운 해변 도시 5곳’에도 이름을 올리는 등 글로벌 주목도 또한 상승세다.부산 방문 외국인 관광객의 패턴도 과거와는 달라지고 있다. 이전에는 BIFF광장, 해운대 등 정형화된 명소 위주로 움직였다면, 최근에는 현지인들의 일상을 체험할 수 있는 콘텐츠가 인기를 끌고 있다. SNS와 블로그를 통해 소개된 ‘민락수변공원 야간 산책’, ‘송도해상케이블카 야간 탑승’, ‘바 크롤’, ‘사직야구장 야간 경기 관람’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사직야구장의 KBO 경기 관람은 색다른 문화 체험으로 자리 잡았다. 광안리 일대의 야간 콘텐츠 활성화도 눈에 띈다. ‘M드론라이트쇼’의 상설 운영 이후 광안대교 일대의 상권이 살아나면서, 해운대 중심이던 야간관광의 축이 광안리로 이동하고 있다. ‘별바다부산 원도심 나이트 미션투어’는 참여자 만족도 4.94/5점을 기록하며 화제를 모았고, 다대포해수욕장의 ‘나이트 뮤직 캠크닉 앤 트래블쇼’, 화명생태공원의 ‘나이트 마켓’ 등은 로컬 명소를 야간 관광지로 탈바꿈시키는 데 성공했다.부산은 서면, 해운대, 광안리, 남포동뿐 아니라 다대포, 화명동, 사직동 등 도시 전역에서 야간 관광이 가능한 ‘다중 거점형 야간관광 도시’로서의 강점을 지닌다. 이와 함께 안전한 심야 대중교통망과 외국인 맞춤형 서비스인 ‘비짓부산패스’, ‘위챗페이’ 연동 등 관광 편의성도 크게 개선됐다.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부산시는 2025년 ‘별바다부산 나이트 페스타’를 전역 축제로 확대해 개최할 계획이다. 7월부터 4개월간 이어지는 이번 축제에서는 기존 콘텐츠를 한층 강화해 글로벌 야간관광 도시로서의 정체성을 더욱 공고히 할 방침이다.올해 여름 휴가철에도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부산 원도심의 로컬 감성을 바탕으로 하는 ‘나이트 미션투어’와 ‘근현대역사관 키즈투어’, 국립부산과학관과의 협업 프로그램인 ‘사이언스 앤 매직 키즈밤놀이터’ 및 ‘가족과학캠프’ 등이다. ‘리버 디너 크루즈’는 대표 야간 콘텐츠로 자리 잡으며 가족 단위 여행객은 물론 외국인 개별 관광객들에게도 큰 호응을 얻고 있다.부산은 단순한 휴양지를 넘어, 밤에도 살아있는 입체적인 관광 도시로 진화하고 있다. 야간이라는 시간을 새로운 기회로 전환한 전략은 국내외 관광객의 발길을 끌어당기며 ‘부산 관광’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