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매일

건강매일

세계 최초 발견! 열무에 숨겨진 12가지 '항암 물질'의 충격적 효능

 무더운 여름철, 시원하고 새콤한 맛으로 입맛을 돋우는 열무김치가 단순한 반찬을 넘어 건강에 놀라운 효능을 가진 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농촌진흥청이 국내에서 재배되는 열무에 대한 정밀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양한 건강 효과를 가진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음이 확인됐다.

 

연구진은 열무에서 총 18종의 플라보노이드를 발견했는데, 이 중 12종은 세계 최초로 열무에서 발견된 성분이다. 이 성분들은 모두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열무는 1년 내내 재배가 가능한 무 품종으로, 플라보노이드 외에도 비타민 A와 C, 그리고 다양한 필수 무기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영양학적으로도 매우 가치 있는 식품이다.

 

농촌진흥청의 분석에 따르면, 열무 100g당 플라보노이드 총 함량은 15.7mg에 달한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켐페롤 계열 성분 9종과 케르세틴 계열 성분 3종이 열무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는 점이다. 이 중 켐페리트린(켐페롤 계열 성분)은 황마 등 여러 약용식물에서 주로 발견되는 성분으로, 다양한 연구를 통해 항산화, 항염, 혈당 개선 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 열무 100g당 켐페리트린 함량은 79.1mg으로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또한 케르세틴은 항산화 작용과 혈관 건강 개선 효과로 널리 알려진 플라보노이드로, 열무에 함유되어 있어 그 영양학적 가치를 더욱 높이고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체내 산화 스트레스를 줄이고 염증 반응을 억제하며, 혈당 조절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열무를 김치로 담가 먹을 때도 이러한 플라보노이드의 효과를 그대로 누릴 수 있을까? 강원대 기능성식품학과의 연구에 따르면, 열무김치는 숙성 과정을 거치면서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숙성 9일째부터는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최고 수준에 도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김치 발효 과정에서 유익균이 열무에 함유된 항산화 성분을 활성화시키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우리 전통 식품인 열무김치가 단순히 맛있는 반찬을 넘어, 건강에 유익한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것이다. 특히 무더운 여름철 입맛이 떨어질 때 열무김치를 섭취하면 시원하고 상큼한 맛으로 식욕을 돋울 뿐만 아니라, 다양한 건강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 농산물의 우수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했으며, 앞으로도 국내 농산물의 기능성 성분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국내 농산물의 가치를 높이고, 소비자들에게는 건강에 유익한 식품 선택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여름에 오르기 좋은 명산 네 곳, 각기 다른 매력과 산행 포인트 총정리

(779m)은 비로봉, 보현봉, 문수봉, 관음봉, 나한봉 다섯 봉우리로 이루어져 이름 그대로 오봉산이라 불린다. 남쪽으로는 소양호, 북쪽으로는 파로호가 보이는 명당에 자리해 수려한 경관을 자랑한다. 이 산이 특별한 이유는 청평사, 고려정원, 구성폭포 등 명소가 많고, 특히 내륙 산임에도 소양호를 끼고 있어 배를 타고 산행을 시작할 수 있다는 점이다. 과거 청평사는 배를 이용하지 않고는 드나들기 어려워 마지막 배를 놓친 연인들에게 특별한 추억을 남긴 곳이기도 했다. 10여 년 전 오봉산 백치고개가 확대 포장되면서 이런 추억은 역사가 됐지만, 여전히 소양댐에서 출발하는 배편은 인기가 높다. 대부분 등산객은 배후령에서 산행을 시작하며, 표고차가 크지 않아 비교적 쉽게 정상에 오를 수 있다. 다만 암릉이 많아 위험 구간에는 철주와 쇠줄이 설치되어 있으니 초심자들은 주의해야 한다.전라북도 변산반도의 변산(508m)은 바다와 산, 어느 쪽에서 보아도 멋진 풍광을 자랑한다. 서해를 향해 튀어나온 반도 내부 산악지대를 내변산, 바다와 접한 지역을 외변산으로 구분한다. 변산의 여러 봉우리 중 가장 인기 있는 곳은 관음봉과 세봉으로, 이 두 봉우리를 잇는 산줄기가 명찰 내소사를 감싸고 있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일반적인 산행 코스는 내소사 입구 일주문에서 출발해 관음봉 삼거리, 관음봉, 세봉, 세봉 남릉을 거쳐 다시 일주문으로 돌아오는 원점회귀형이다. 직소폭포나 월명암 방면으로 넘어갈 수도 있지만, 차량을 내소사에 주차했다면 되돌아오는 길이 번거로울 수 있다.경상북도 포항시와 영덕군 경계에 위치한 내연산(710m)은 낙동정맥 줄기가 주왕산을 지나 동해안 쪽으로 뻗어 형성된 산이다. 문수산(622m), 삼지봉(내연산 정상, 710m), 향로봉(930m), 우척봉(755m)으로 능선이 이어진다. 완만한 육산이라 단조로워 보일 수 있으나, 20리에 달하는 골짜기에는 12개의 폭포가 자리하고 있다. 청하골 12폭포로 불리는 이 폭포군은 내연골 초입 상생폭포부터 시작해 보현폭, 삼보폭, 장룡폭, 무룡폭을 거쳐 제6폭포 관음폭과 제7폭포 연산폭 일대에서 계곡미의 진수를 보여준다. 산길이 순하고 뚜렷하게 이어지며, 위험 구간에는 안전시설물이 잘 갖춰져 있어 편안한 산행이 가능하다. 보경사에서 시작해 여러 폭포를 거치는 인기 코스는 천천히 걸어도 1시간 정도면 충분히 즐길 수 있다.마지막으로 운문산(1,195m)은 가지산과 함께 영남알프스 산군의 북쪽에 거대한 산줄기를 형성하고 있다. 이 산군의 능선을 따라 경북 청도군과 경주시, 경남 밀양시와 울산광역시의 경계가 이루어져 지역 문화와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동과 영서를 나누는 백두대간만큼이나 이 지역에서는 중요한 산군이다. 가지산과 한 줄기로 연결된 운문산은 능선종주가 가능한 긴 산줄기지만, 대부분의 등산객은 각 봉우리를 별개의 산행지로 인식한다. 특히 산행 시작점의 고도가 낮은 운문산은 정상까지 오르는 데만 약 2시간이 소요될 정도로 고도차가 크다. 석골사에서 시작하는 인기 코스는 물론, 밀양 남명리에서 아랫재를 통해 오르는 코스도 모두 가파른 오르막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