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닝족 무릎·정강이 비상..“이게 다 달리기 때문"

특히 반복적 충격이 누적되면 대표적인 러닝 부상인 무릎연골연화증이나 전경골근 통증 증후군 같은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무릎은 인체에서 체중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는 주요 관절로,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낮아 근육과 인대, 연골에 크게 의존한다. 러닝 시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은 체중의 약 8배에 달하며, 이로 인해 무릎 연골에 지속적인 마찰과 압력이 가해지면 연골이 점차 약화된다. 이처럼 연골이 정상보다 물러지고 약해지는 질환이 바로 '무릎연골연화증'이다.

무릎연골연화증의 초기 증상은 무릎 앞쪽의 통증과 무릎을 굽히거나 펼 때 발생하는 마찰음이 대표적이다. 증상이 심화되면 부종이나 열감이 동반되기도 한다. 수원나누리병원 관절센터 김중혁 부장은 “무릎연골연화증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선 MRI 검사를 통한 정밀 확인이 필수”라고 설명했다.
초기에는 체외충격파, 도수치료, 운동치료 등 보존적 치료와 연골주사로 증상 완화가 가능하지만, 이를 방치할 경우 손상된 연골은 재생이 어렵고 관절염으로 악화될 수 있다. 이미 연골 손상이 심한 경우라면 관절내시경수술 등의 적극적인 치료가 요구된다.
러너들이 주의해야 할 또 다른 질환은 '전경골근 통증 증후군'이다. 러닝 후 무릎이나 발목, 발바닥이 아픈 경우도 흔하지만, 일부는 정강이 부위에 통증을 호소한다. 이는 뼈의 문제가 아니라 ‘전경골근’이라는 근육에 무리가 가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전경골근은 정강이 앞쪽의 가장 큰 근육으로, 발목과 발등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김중혁 부장은 “전경골근 통증은 무리한 운동으로 인해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하고 수축되면서 나타난다”며 “특히 평소와 다른 운동 패턴을 갑자기 시도하거나 운동량을 급격히 늘리면 발병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러한 통증은 발바닥이나 발등을 늘리는 스트레칭을 통해 긴장된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꾸준한 스트레칭과 충분한 휴식으로도 통증이 개선되지 않고 2주 이상 지속된다면, 단순한 근육통이 아닌 정식 질환일 수 있으므로 정형외과나 스포츠클리닉을 찾아 진단을 받아야 한다.
건강을 위해 시작한 러닝이 오히려 건강을 해치는 결과로 이어지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러닝 전 충분한 스트레칭과 단계적 운동 강도 조절, 올바른 러닝 자세 습득이 부상을 예방하는 첫걸음이다. 러닝 열풍 속에서 무리하지 않고 건강하게 운동을 지속하려면 내 몸의 신호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