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매일

건강매일

100조 비만 시장 승부수… 대웅제약, '붙이는 비만 패치' 임상 1상 돌입

 대웅제약과 대웅테라퓨틱스가 '붙이는 GLP-1' 개발로 비만치료 혁신을 예고했다. 주사제 중심의 기존 시장에 '패치'라는 혁신적 약물 전달 방식을 도입, 임상 초기 단계임에도 전 세계 제약 및 자본 시장의 큰 관심을 받는다. 성공 시 환자 편의성을 극대화하며 비만 치료 패러다임을 바꿀 잠재력을 지녔다는 평가다.

 

현재 GLP-1 계열 약물은 100조 원 이상 거대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위고비 등 기존 주사제는 주사 불편함, 바늘 거부감, 냉장 보관(콜드체인) 필요성 등 한계가 있었다. 대웅제약은 이러한 미충족 수요 해소를 위해 '세마글루타이드 마이크로니들 패치(DWRX5003)' 개발에 착수, 이달 1일 임상 1상 승인을 받았다.

 

임상 1상은 건강 성인을 대상으로 안전성, 약동학(PK), 그리고 주사제 대비 상대 생체이용률(RBA)을 비교한다. 대웅은 앞서 파일럿 자료에서 주사제 대비 80%대 RBA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목표 달성 시, 주사 부담 환자군 및 고령 환자 등 비만 치료 문턱을 크게 낮출 수 있다.

 


DWRX5003은 대웅테라퓨틱스의 '클로팜' 기술 기반으로 주 1회 부착을 전제로 한다. 기술적 난제는 대용량 펩타이드의 균일한 로딩, 배치 간 변동성 관리, 그리고 포장·보관·수송 전 과정에서의 안정성 확보다. 실온 유통이 가능해지면 콜드체인 부담을 줄여 경제성과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국소 피부 반응, 반복 부착 시 자극, 부착 실패율, 장기 안전성 등은 임상에서 검증될 과제다.

 

김민정 DS투자증권 연구원은 "GLP-1 시장은 1000억 달러 이상 성장 전망. 대웅의 '붙이는 세마글루타이드'가 우수한 생체이용률 입증 시 수천억 원대 매출이 가능하다. 나보타 해외 성장성과 비만 패치제 진척을 고려하면 현재 주가는 충분히 저렴한 구간"이라고 평가했다.

 

대웅제약의 '붙이는 GLP-1'이 100조 원대 비만 시장의 판도를 뒤흔들 혁신적인 대안이 될지 주목된다.

 

맛녀들, 쯔양도 출동! 춘천 막국수닭갈비축제, 먹방 성지 등극

행사를 넘어 도시 전체가 미식과 문화로 어우러지는 '도시형 종합 미식축제'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선언하며 기대를 모으고 있다.춘천시는 기존의 단일 장소 구성에서 벗어나 주 행사장을 공지천 하천변으로 변경하고, 명동, 온의동, 후평동, 신북읍 등 도심 전역으로 확대해 축제 분위기를 확산시킬 계획이다. 메인 슬로건은 "막닭을 '맞닥' 뜨렸을 때, 온몸으로 전해지는 맛의 전율!"로, 춘천의 대표 음식에 대한 미식 경험에 대한 기대감을 높인다.특히 올해는 춘천 유명 닭갈비 10곳과 막국수 5곳이 대거 참여하여 미식의 향연을 펼친다. 행사장에서 닭갈비(200g)는 9,900원, 막국수는 7,000원으로 가격을 통일해 방문객들이 부담 없이 춘천의 맛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 공지천 메인 행사장은 차량 진입을 제한한 '차 없는 거리'로 운영되며, 출렁다리 임시 주차장과 모다아울렛 지하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다. 셔틀버스와 시내버스도 운행돼 방문객들의 편의를 돕는다.개막식은 축제 첫날인 16일 오후 7시, 춘천시의 'K-푸드 비전선포식'과 함께 막국수와 닭갈비의 세계화를 알린다. 개막 첫날에는 '맛있는녀석들' 촬영이 진행되며, 17일에는 인기 먹방 유튜버 쯔양이 초청되어 특별한 이벤트와 함께 축제를 즐길 예정이다. 17일 오후에는 가수 허각의 공연, 18일 오후에는 위대한 태권쇼, 덕호씨밴드 등 다채로운 문화 공연도 펼쳐진다.축제 콘텐츠 역시 대폭 달라졌다. 춘천시는 공지천 행사장을 네 구역으로 재편, 기존의 야시장 중심, 트로트 위주 무대공연에서 벗어나 지역 상권, 로컬 브랜드, 관광이 어우러진 새로운 축제 모델을 제시한다. 이와 함께 호수정원관, 빙상 100년 사진전 등 춘천의 문화와 역사를 담은 전시도 준비되어 방문객들에게 다채로운 볼거리를 제공한다.육동한 춘천시장은 이번 축제를 통해 '춘천의 상징인 막국수와 닭갈비의 맛을 전 세계에 알리고, 시민과 상인이 모두 만족하는 축제를 구현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그는 또한 '도심 곳곳에 생동감을 불어넣는 춘천만의 미식 축제로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이에 따라 이번 축제는 춘천의 미식과 문화를 동시에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